논문 상세보기

근시성 굴절이상자에서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른 원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 KCI 등재

Variation of Horizontal Phoria of Myopic Refraction Error According to Gaze Direction and Gaze Ang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근시성 굴절이상자의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른 사위와 폭주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질환과 현성사시가 없고 교정시력이 0.9 이상인 61명(남 29, 여 32)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절검 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프리즘바를 사용한 자각적 교대가림검사로 원거리 (5m)에서 정면과 우측 및 좌측 10˚, 20˚, 30˚ 주시방향에 따른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면과 우측 및 좌측 10˚, 20˚, 30˚ 주시방향에서 폭주근점을 측정하였다.
결 과: 정면주시 상태에서 측정한 사위와 비교하여 주시각도가 커짐에 따라 외사위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시방향에 따라 사위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대상자가 더 많았으며, 좌측방향으로 주시하였 을 때 외사위도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주시각도가 증가할수록 폭주근점은 유의하게 멀어졌다.
결 론: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라 사위도와 폭주근점은 변한다. 따라서, 시기능 평가시 주시방향과 각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phoria and NPC(near point of convergence) in accordance with the gaze direction and the gaze angle at distance.
Method: 61 subjects (male 29, female 32) who had no ocular diseases and manifest heterotropia were participated and their corrected visual acuity were more than 0.9. After full correction of sybject's refractive error, The horizontal phoria at distance (5m) was measured using subjective alternate cover test with prism bar in accordance with gaze angles of 10˚, 20˚, 30˚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as well as the primary position. Also NPC was measured in primary position and 10˚, 20˚, 30˚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Result: The exophoria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e of gaze angle as compared with phoria measured from primary position. There were more subjects who showed different variations of phoria according to the gaze direction. The decrement of exophoria was larger when subjects gazed to the left direction rather than the right direction. As the gaze angle increased, near point of convergence was receded significantly.
Conclusion: Phoria and NPC are dependent on gaze direction and ang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aze direction and angle in evaluation of visual function.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통계처리
 Ⅲ. 결 과
  1.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른 수평사위도 변화비교
  2.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른 폭주근점 변화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김하나(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Ha-Na Kim (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조현국(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Hyun-Gug Cho (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문병연(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Byeong-Yeon Moon (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