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올라이트 광산개발을 위한 천연 제올라이트의 특성 분석 및 중금속 이온 흡착 특성 연구 KCI 등재

Characterization of Natural Zeolite and Study of Adsorption Properties of Heavy Metal Ions for Development of Zeolite Mi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7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국내 경상북도 포항 지역에서 채취한 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X-선 회절, X-선 형광분석, 열 시차 분석, 열중량 분석 및 양이온교환능 분석을 통해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제올라이트의 주 성분은 구룡포A (Ku-A), 구룡포B (Ku-B), 구룡포C (Ku-C), 동해A (Dh-A), 동해B (Dh-B), 동해C (Dh-C) 모두 모데나이트, 알바이트 및 석영이 함유되어 있었다. 6종의 제올라이트는 Si, Al, Na, K, Mg, Ca, Fe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구룡포C (Ku-C) 제올라이트의 양이온 교환능이 다른 지역의 제올라 이트 보다 높게 나타났다. 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Pb2+, Cd2+ 및 Cu2+ 등의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반응 시간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 모두 Pb2+, Cd2+ 및 Cu2+ 제거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에 함유된 제올라이트의 함량이 매우 낮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제올라이트 광석의 중금속 흡착능력은 제올라이트의 함량, 즉 광석의 품위에 크게 의존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The six natural zeolites collected in Pohang area, Kyungsangbuk-do, Korea, were characterized by XRD, XRF, DTA, TGA, and CEC analysis. The primary species of these zeolite are modenite, albite, and quarts in Kuryongpo-A (Ku-A), Kuryongpo-B (Ku-B), Kuryongpo-C (Ku-C), Donghae-A (Dh-A), Donghae-B (Dh-B), and Donghae-C (Dh-C) samples. The XRF analysis showed that the six zeolites contain Si, Al, Na, K, Mg, Ca, and F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Kuryongpo-C (Ku-C) zeolite wa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zeolites. The capabilities of removing heavy metal ions such as Pb2+, Cd2+ and Cu2+ were compared. The effect of reaction time in removing heavy metal ions was studi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removal was low for Pb2+, Cd2+ and Cu2+ ions. These may be caused by the low content of zeolite in the six natural zeolites. This indicates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roughly tends to depend on the zeoite contents, ie., the grade of zeolite ore.

목차
서 론
실험 방법
연구 결과
토의 및 결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후식(안동대학교 응용화학과) | Hu Sik Kim
  • 임우택(안동대학교 응용화학과) | Woo Taik Lim Corresponding author
  • 김영훈(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Young Hun Kim
  • 백기태(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Ki Tae B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