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도가 농약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농약사용량 예측 모의실험 KCI 등재

Analysis of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Pesticide Efficacy and Simulation of the Change in the Amount of Pesticide U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9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개체군 증감모형은 해충방제를 위 한 초발생예찰과 연속적 해충변동 양상의 파악에 매우 중 요하다. 이러한 예측은 농약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에 적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현대 해충방제전략의 화두 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변화에 따른 해충의 농약효과 에 따른 사충률의 변화를 개체군 모형과 결합시켜 모의했다. 감수성 점박이응애를 강낭콩을 기주로 20, 25, 30, 35℃에서 Acrinathrin-Spiromesifen 혼합제와 Azocyclotin 유기주석계 농약에 노출시켰다. 생물검정 결과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온도와 농약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점박이 응애의 개체군 밀도변동 모의는 DYMEX를 이용했으며, 모 의결과 농약의 종류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초기방제 시기와 방제횟수에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해충방제 전략과 농약 선발에 있 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Pest population density models are very important to monitor the initial occurrence and to understand the continuous fluctuation pattern of pest in pest management. This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agriculture because these predictions make pesticides more effective and environmental impact of pesticides less. In this study, we combined and predicted the mortality change of pest caused by pesticides with temperature change and population dynamic model. Sensitive strain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with kidney bean leaf as host was exposed to mixed acaricide, Acrinathrin-Spiromesifen and organotin acaricide, Azocyclotin, at 20, 25, 30, and 35℃,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of T. urticae among pesticides and temperatures. We used DYMEX to simulate population density of T. urticae and predicted that the initial management time and number of chemical control would be changed in the future with climate change. There would be implications for strategies for pest management and selection process of pesticide in the future corresponding climate change.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모형호(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Hyoung-ho Mo
  • 강주완(국립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Ju Wan Kang
  • 조기종(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Kijong Cho
  • 배연재(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Yeon Jae Bae
  • 이미경(국립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Mi-Gyung Lee
  • 박정준(국립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국립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Joo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