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Wesley’s Theological Methodology and Scriptural Holiness: Compared with John Locke’s Epistemology
이 연구는 후기 근대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혼재되어 있는 지금의 시 대에 어떻게 기독교가 사회 전반과 성도들의 삶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 을까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필자는 세속주의, 종교 다원주의, 상대주의, 개인주의, 물질만능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물음 앞에서 현대 기독교가 무기력한 이유들 중에 하나가 신학과 실천, 학문과 사역, 그리고 교회와 세계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와 대화의 부족 에 있다고 확신한다. 근대 이전의 문화와 가치와 함께 근대의 문화와 가치가 혼재 되어 있었 던 영국의 계몽주의 시기에 존 웨슬리는 자신의 신학 방법론을 통해 기독 교의 핵심 가치인 ‘성결과 행복’을 추구 했다. 그는 당시의 세속화 되어가 는 문화와 사회에 함몰되지도 않았고 또한 당시의 문화와 사회를 배척하지 도 않았다. 웨슬리의 신학 방법론은 변화하는 시기였던 그 자신의 시대의 다양한 쟁점들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그의 노력의 결과들 중에 하나였다. 그러한 까닭에 필자는 웨슬리의 경우를 통해서 후기 근대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양측의 도전들 속에 있는 현대 기독교의 문제들에 대한 해 결책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당시 세속 사회의 문화와 가치체계를 주도했던 영국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대표자 존 로크의 인식론과 그에 대한 대응으로 서의 존 웨슬리 신학의 연구 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이 고찰은 행 복에 대한 관점으로 인간의 삶의 궁극적 목적을 설명하고 있는 행복론 (eudemonism)적 측면에서 그들의 인식론 체계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행복의 본질에 대한 그들 각자의 관점의 조사도 병행한다. 여기서 특별히 필자는 존 웨슬리의 신학 방법론 속에 있는 공동체 내에서뿐만이 아니라 기독교의 타 전통 그리고 세속 사회와의 대화에 대한 개방성에 독자들이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요청한다.
This project originates from a question of how Christianity could exercise its leverage both in larger societies and in Christians’ lives in the midst of an era in which late modernity and postmodernity coexist. The author is convinced that the lack of dialogue or deep understanding between theology and practice, between the academy and ministry, and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has resulted in Christianity’s inability to respond to challenges and questions of secularization, religious pluralism, relativism, individualism, materialism, and postmodernism etc. In the midst of the English Enlightenment, when the ethos of pre-modernity and the ethos of modernity had coexisted, John Wesley pursued the key value of Christianity, “holiness and happiness,” with the help of his own theological methodology. He was neither swallowed up by secularized society and culture nor rejected them completely. Wesley’s theological methodology was the result of his efforts to respond properly to various issues of his own era in the midst of a changing period. Therefore,the author is convinced that Wesley’s case can give us a crucial clue in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Christianity, faced with challenges of both late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this regard, this project deals with the goals, as well as the methodology, both of John Locke’s epistemology and of John Wesley’s theological reflections in the midst of the period of the Enlightenment. John Locke, a representative of the Enlightenment thinkers, took the lead in the formation of value systems and secular culture of his own era. This study surveys each thinker’s concept of the nature of happiness as the goal of their epistemological systems in lights of the perspective of eudemonism. In particular, the author calls readers’ attention to openness to dialogue within community, with other traditions in Christianity, and also with secular society in Wesley’s theological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