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패스트푸드 브랜드 개성에 따른 재포지셔닝 전략 KCI 등재

Repositioning Strategies Following Fast Food Brand Person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3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식시장에서 패스트푸드로 대표되는 햄버 거 브랜드들의 이미지가 현재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인지되 고 있으며, 향후 어떠한 이미지로 변화하는 것이 경쟁이 치 열한 시장에서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이 될 것인가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즉, 브랜드 개성을 적용하여 지각도 구축을 통 한 재포지셔닝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스트푸드 브랜드 개 성은 ‘친숙함’, ‘활발함’, ‘전문성’, ‘신뢰성’, ‘세련성’ 등 다 섯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다섯 가지 브랜드 개성 요인을 기초로 바이플롯(Biplot)을 이용하여 전체집단의 지 각도를 도출한 결과 ‘맥도날도’와 ‘롯데리아’가 가장 서로 가 깝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인지 상에 서로 경쟁 관계에 놓여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KFC’와 ‘버거킹’이 비교적 독립된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맥도날드’ 와 ‘롯데리아’는 ‘친숙성’, ‘맘스터치’는 ‘열정’과 ‘신뢰성’ 및 ‘세련성’이라는 브랜드 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반해 ‘버거킹’은 여타 다른 브랜드 속성들과는 다 소 거리가 떨어져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다 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독특한 브랜드 개성 이미지가 부족하 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성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만족도 등에 따른 세분 집단 간 지각도를 도출한 결과 서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경우 가장 차별화 된 브랜드 개성 속성으로 ‘세련성’과 ‘친숙성’이며, ‘맥도날 드’와 ‘롯데리아’가 서로 유사 이미지로 인지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신뢰성’이 가장 차별화된 브랜 드 개성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맘스터치’가 ‘신뢰성’, ‘KFC’ 가 ‘전문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도가 낮은 세분집단에서는 ‘전문성’과 ‘세련성’이 가장 차별환 된 속성 으로 나타났으며 ‘맥도날드’가 ‘친숙성’과 ‘열정’ 이미지를 지닌 브랜드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 도가 높은 세분집단의 경우는 ‘친숙성’이 최대속성으로 나타 나며 ‘롯데리아’가 그러한 브랜드 개성 이미지를 가장 많이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BBQ’가 ‘열정’과 ‘신뢰성’, ‘KFC’가 ‘전문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브랜드 저만족도 집 단에서는 ‘세련성’이 가장 차별화된 최대속성으로 나타나며, ‘전문성’이 최소속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KFC’가 ‘세련성’, ‘맘스터치’가 ‘신뢰성’과 ‘열정’을 지닌 브랜드로 인지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고만족도 집단에서는 ‘열정’이 가장 차별화된 속성으로 나타나며 여기에는 ‘BBQ’가 가장 가까운 브랜드로 인지되고 있으며, ‘전문성’이 최소 속성으 로 ‘맘스터치’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롯데리 아’가 ‘친숙함’에 가장 가까우며 그리고 유사 이미지 브랜드 로는 ‘맥도날드’와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거 킹’은 ‘신뢰성’ 이미지요인에 가장 가까이 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들이 어떤 브랜드 개성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지와 그 이상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비교 대상 브랜드 여섯 개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각 브랜드의 선호집단과 이상점 벡터를 구하였다. 그 결과 전체집단은 ‘맘 스터치’를 가장 선호하며, 이의 브랜드 개성 이미지요인으로 는 ‘열정’, ‘신뢰성’, ‘세련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었 다. 그리고 전체집단의 최대속성은 ‘친숙성’으로 향후 시장 에서 ‘친숙성’이미지를 좀 더 보완하는 전략을 구축할 필요 가 있다. 남성들은 ‘맥도날드’를 가장 선호하며 ‘친숙성’을 지닌 브랜드로 인지하고 있다. ‘맥도날드’는 향후 시장에서 ‘세련성’과 ‘전문성’을 좀 더 보완하는 재포지셔닝전략을 구 축할 필요가 있다. 여성들은 ‘KFC’와 ‘맘스터치’를 가장 선 호하며 이들 브랜드에 대해 ‘전문성’과 ‘신뢰성’을 지닌 것으 로 인지하고 있다. 앞으로 경쟁시장에서 ‘열정’ 이미지요인 을 더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브랜드 신뢰도와 만족도가 낮은 집단은 ‘KFC’를 가장 선호하며 각각 ‘신뢰성’과 ‘세련 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문성’과 ‘열정’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신뢰 도와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맥도날드’를 가장 선호하며 ‘전문성’과 ‘친숙성’을 지닌 브랜드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는 현재 시장에서 시장점 유율 우위에 있으나 후발 브랜드 ‘맘스터치’의 ‘신뢰성’과 ‘KFC’의 ‘전문성’에는 다소 부족한 브랜드 개성 이미지를 지 니고 있음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전 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도 패스트푸드 햄버거의 브랜드 개성 은 종종 도출하였다. 그러나 지각도상에서 비교대상 브랜드 의 경쟁관계와 그 이상점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시장에서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패스트푸드 햄버거 브랜드 이미지를 공간 지각도상에 도출하여 재포지셔닝 전략을 개 발한 것에 본 연구의 차별성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브랜드 개성을 평가하는 속성변수들이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향후에는 급변하고 있는 시장의 변화 를 적용한 다양한 속성변수들이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표본의 대표성문제가 있다. 부산지역 대학생들 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데 그 한계점이 있다. 추가연구 에서는 다양한 연령층, 지역 및 직업군 등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fast food brand personality in the domestic dining market to present the repositioning strategies within the competitive market. Positiv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ve brand individualities of ‘familiarity’, ‘passion’, ‘professionalism’, ‘reliability’, and ‘refinement’ were derived. Second, the deductions made on perceptions of the population using a Biplot based on the brand personalit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rand personality images of the brands, which were the targets of comparis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s of perception among the subgroups according to gender, brand reliability, and brand satisfaction.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the consumer fast food brand preferences and ideal point. Such studies can provide information useful for establishing marketing differentiating strategies by grasping the brand personality of competing brands in the market.

목차
I. 서 론
II. 연구 내용 및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경희(신라대학교 경영학과) | Kyung-Hee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