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rmatology Quality of Life by Applying the Skindex-29 Questionnaire to Dry Eye Syndromes KCI 등재

건성안 증후군에 Skindex-29를 이용한 피부과적 삶의 질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8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건성안 증후군 대학생을 대상으로 Skindex-29를 이용한 피부과적 삶의 질을 분석하여, 건성안 증후군의 일반적인 특성 및 연관된 문항의 항목별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McMonnies 설문을 통해 206명의 건성안 증후군을 선별하였으며, Skindex-29 설문을 통해 피부 과적 삶의 질을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의 피부과적 삶의 질의 전체 점수는 44.84점이였고, 증상 영역, 기능 영역, 감정 영역은 각 각 11.95점, 16.78점, 19.25점이었다. 신뢰도 분석한 결과 Cronbach’s α값이 0.80, 0.87, 0.96로 내적합치 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삶의 질의 수준별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증상 영역은 알레르 기 약 복용 여부, 감정 영역은 성별과 음주 여부, 전체 점수에서는 알레르기 약 복용 여부와 유의하여 연관성 이 있었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ROC곡선에서 음주 여부는 유의하지 않았고 알레르기 약 복용 여부는 피부과 적 삶의 질의 증상 영역에서 AUC값이 0.74를 보이며 유의하였다.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은 감정 영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알레르기 약을 복용한 사람일수록 감정 영역의 피부과적 삶의 질이 낮았다.
결 론: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은 선행연구의 일반 대상자보다 낮았으며, 알레르기 약을 복용 하는 건성안 증후군은 감정 영역의 피부과적 삶의 질이 낮았다. 추후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 을 연구하여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analyze the dermatology quality of life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dry eye syndromes using the Skindex-29 and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of the item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ir dry eye syndromes.
Methods: The syndromes of 206 students with dry eye were selected through the McMonnies questionnaires, and their dermatology quality of life was analyzed through the Skindex-29 questionnaires.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dermatology quality of life of the respondents was 44.84 points: the score of each of the domains of syndrome, function, and emotion was 11.95, 16.78, and 19.25 poi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analysis show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with cronbach’s α(alpha) at 0.80, 0.87, 0.96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quality of life by level of the respondents show as follows: (1) the sympto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hether or not they took allergic medication; (2) the emotion with the gender and/or whether or not they drank; and (3) the overall with whether or not they took allergic medication. In the ROC curve for verifying the validity, whether or not they drank was not significant while whether or not they took allergic medication was significant in the symptom of the dermatology quality of life with the value of AUC at 0.74. In the dry eye syndromes, the dermatology quality of life was the lowest in the emotion; and those who took allergic medication had lower a dermatology quality of life than those who did not in the emotion.
Conclusions: The dermatology quality of life of respondents with dry eye syndromes in the current study was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respondents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spondents with the dry eye syndromes who took allergic medication had a low dermatology quality of life in the emotion. Studie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to improve the dermatology quality of life of those with dry eye syndromes by examin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allergic disease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건성안 증후군의 일반적 특성
  2.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
  3. 피부과적 삶의 질 신뢰도 검사
  4. 건성안 증후군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과적삶의 질의 타당도 분석
  5.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 회귀분석
 Ⅳ. 결 론
 References
저자
  • Kyung-Hee Hong(대한안경사협회 중앙회, 서울) | 홍경희
  • Se-Jin Kim(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천안) | 김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