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섭권한과 패션감각이 남자친구의 패션스타일 통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Legitimacy and Fashionability on Females' Control over their Boyfriends' Fashion Sty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사람들은 자신이 애정을 가지고 있는 중요 타인(예. 자녀, 배우자, 연인)을 또 다른 자기(extended self)라고 생각 하고 자신의 자기 개념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들의 패션 스타일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개념적으로 통제하려는 사람이 지각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이 중요 타인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 또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애 중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 실험 참가자가 지각한 남자친구에 대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의 지각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상호작용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각한 간섭권한이 높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의 차이에 따른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의 차이가 없는 반면 지각한 간섭권한이 낮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tend to perceive their loved others (e.g., children, spouse, romantic partner) as their extended selves and then control over the loved others' fashion style corresponding to their self-concept. The study conceptually suggested that people's perceptions on legitimacy to interfere the others and their own fashionability would separately or interactively influence their control over the loved others' fashion style. To investigate the suggestions, an experiment with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was conducted by using a scenario.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perception of legitimacy to interfere their boyfriends or their own fashionability did not have a separate effect on control over their boyfriends' fashion style. However, the legitimacy and the fashionability did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the control. In particular, for high legitimacy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trol between low and high fashionability groups. For low legitimacy groups, the control was stronger in high fashionability group than in low fashionability group.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3.1. 실험 참가자
  3.2. 실험용 시나리오와 자극물 개발
  3.3. 실험 절차
  3.4. 측정 변인
 4. 연구결과
  4.1. 통계분석을 위한 사전 점검
  4.2. 통계분석 결과
 5. 논 의
 REFERENCES
저자
  • 성영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Youngshin Sung
  • 강정석(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Jungsuk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