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방암 수술 후 유방 암 여성 환자의 의생활 조사: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간의 비교 KCI 등재

Survey of Clothing Behavior for Breast Cancer Women After Surgery: Comparison Between a Breast-Conserving Surgery Group and a Mastectomy Grou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유방 보존술(68명)과 유방 전절제술(45명)을 받은 대상자의 수술 후 심신의 변화에 따른 의생활의 공통점 과 차이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공통점으로는 유방 절제 수술로 변형된 체형을 노출시키고 싶어 하지 않았고, 타인에게 본인이 유방암 환자인 것을 알아채주어 배려 해 주기를 바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방 절제 범위가 큰 유방 전절제술의 대상자는 신체 이미지의 고양을 위하여 절제된 유방의 보완이 가능한 의복 및 보조물(인조 유방)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를 위한 브래지어나 인조유방은 고가임은 물론, 낮은 감성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유방암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을 위한 전문 의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유방 절제 수술을 받은 한국 여성 대상자를 위한 치유 복장, 브래지어나 인조유방 등의 개발에 있어, 이와 같은 감성 조사가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 되어 신체이미지 증진은 물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lothing habits between a breast-conserving surgery group (68 patients) and a mastectomy group (45 patients). In common, both parties expressed that they did not want to conspicuously display their altered body shape from the surgical procedure, and they also confirmed that they did not want to be treated as breast cancer patients by others. On the other hand, a mastectomy group significantly preferred clothes, bras and breast prostheses which enhance the body silhouette in comparison to the patients who received breast-conserving surgery. However, the patients who received breast mastectomies reported that the bras and breast prostheses available have been expensive with low emotional satisfaction, calling for particular need in specialized clothing for female patients who undergo breast surgery. Hence, this research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clothes, bras and breast prostheses for Korean women who must undergo breast surgery would be effective in helping to improve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in these wome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유방암 수술
  2.2. 신체 이미지
  2.3. 치유 복장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3.2. 연구 내용 및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4.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4.2.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간의 변화된 심신의 차이
  4.3. 의복의 선호도에 대한 요인분석
  4.4. 브래지어와 인조 유방의 구매 가격 및 구매 빈도
  4.5. 브래지어와 인조유방의 구매 및 착용 만족도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오희경(숭실대학교 공과대학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 Hee-Kyoung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