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작업치료중재를 통한 유방암 환자의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칭, 치료적 활동 및 일상생활활동으로 구성된 작업 치료중재 프로그램을 40분씩 주 2회 총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신체기능은 한국판 간이 피로 평가지 (Korean version of Brief Fatigue Inventory; BFI-K), 기본 호흡곤란 지표(Baseline Dyspnea Index; BDI)를, 근 활성도는 surface Electromyoghraphic (sEMG)를, 그리고 암 치료 관련 기능적 평가 - 유방 암(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Breast; FACT-B)를 통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결과 : 신체기능에서 피로도와 호흡곤란 정도는 감소하였으며(p<.01), 근 활성도는 앞쪽․중간 어깨세모근, 큰가슴 근의 복장갈비머리 부분, 가시아래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삶의 질은 총점과 하위 영역 중 Physical Well-Being(PWB), Functional Well-Being(FWB), Breast Cancer Subscale(BCS)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1). 결론 : 중재 후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삶의 질 모두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이는 작업치료 중재가 유방절제 술 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유방 보존술(68명)과 유방 전절제술(45명)을 받은 대상자의 수술 후 심신의 변화에 따른 의생활의 공통점 과 차이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공통점으로는 유방 절제 수술로 변형된 체형을 노출시키고 싶어 하지 않았고, 타인에게 본인이 유방암 환자인 것을 알아채주어 배려 해 주기를 바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방 절제 범위가 큰 유방 전절제술의 대상자는 신체 이미지의 고양을 위하여 절제된 유방의 보완이 가능한 의복 및 보조물(인조 유방)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를 위한 브래지어나 인조유방은 고가임은 물론, 낮은 감성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유방암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을 위한 전문 의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유방 절제 수술을 받은 한국 여성 대상자를 위한 치유 복장, 브래지어나 인조유방 등의 개발에 있어, 이와 같은 감성 조사가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 되어 신체이미지 증진은 물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an early exercise program after mastectomy and to provide the early exercise program protocol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mastectomy. The subjects were seventy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They were randomly as signed either to a experimental group (n=35) that received early postoperative exercise program or to a control group (n=35) that received only education by nurses. Data were obtained for each patient from goniometric measurements of shoulder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10 elements of function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ain evaluation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All variable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three days postoperatively, and one month postoperatively. Data were compared by groups using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for parametric or non-parametric data,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all variables preoperatively and at three days postoperativel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shoulder flexion,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and in the pain VAS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p<.05). Also,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less difficulty with three elements of functional performance-doing up a 'back' zippered article of clothing, reaching the ipsilateral scapula, and contralateral scapula with the fingers on the operated side-than the control group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fter mastectomy, the early exercise program conducted by a well-trained physical therapist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turn of more normal shoulde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o an increased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