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of nurses regarding department transfers following the sudden closure of a ward due to the collective resignation of res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29, 2024,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ere 11 nurses who were transferred to different departments following a ward’s sudden closure owing to the residents’ collective resignation. Results: A total of six themes and 24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first theme is ‘After the resident left, the ward was closed’. The second theme is ‘Various job placements were assigned after the ward’s unfortunate closure’. The third theme is ‘Difficulty adjusting to the new environment and leaning to adapt’. The fourth theme is ‘Changes in the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and the subtheme is ‘Surprised by doctors seeking nurses' opinions due to the absence of residents. The fifth theme is ‘Become an expert at adapting’. The sixth theme is ‘Worries about the future and a faint glimmer of hope’.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hallenges nurses encountered in adjusting to new departments following the unprecedented mass resignation of residents and the ensuing ward closure. Nurses initially faced difficulties, feeling expendable in the new environment. However, through the support and collaboration of their colleagues, they demonstrated resilience and adapted effectively. The study also noted that, despite the absence of resident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patients continued to function smoothly, facilitating their involvement in treatment planning alongside specialists and professors. Although departmental transfers can lead to increased job stress for nurses, successful adaptation during these transitions fosters professional growth by enhancing their knowledge, skills, and influence. Furthermore, knowledge sharing among nursing staff contributes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To promote both personal growth and organizational advancement, nursing managers must actively listen to nurses’ perspectives about departmental transfers and provide compassionate support to assist in their adaptation.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recognizes and values the contributions of colleagues who have undergone transfers is essential. By establishing a systematic approach that facilitates successful adaptation and fostering a positive, accepting nursing culture, departmental transfers can be transformed into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and capabilities of nursing staff.
        4,8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리치료의 핵심요인으로 알려진 공감능력에 대해 심리상담자와 일반인 그룹의 차이 및 각 그룹의 정서 평정 일관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정서 차원은 정서가 차원(valence)과 각성가 차원(arousal)이라는 두 가지 핵심정서(core affect) 차원을 밝혔다(Russell, 1980). 본 연구에서는 정서가 차원과 각성가 차원에서의 정서 평정을 위해 가상의 상담 영상을 제작하여 실험자극으로 사용하였고, 각 자극마다 9개의 형용사에 대해 7점 리커트 척도로 정서 평정을 보고받았다. 자료수집 이후 다차원척도법과 참가자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차원척도법 결 과, 상담 영상 자극에 대해 상담자와 일반인 두 그룹 모두 핵심정서차원인 정서가 차원에서 유사하게 잘 표상되었고, 각성가 차원에 있어 상담자 그룹이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9개의 정서 평정 스케일에 대해서도 역시 두 그룹 모두 정서가에 잘 표상되었으나, 상담자 그룹이 각성가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 간 상관분석 결과 대부 분의 정서에 대해 상담자 집단이 일반인 집단에 비해 더 일관된 정서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상담자가 일반인에 비해 각성가에 대한 더 높은 공감 수준을 가지며 상담자 간 일관성이 높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 교육과 훈련을 통해 공감 능력이 증진도리 수 있음을 시사한다.
        4,3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유방암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및 지역사회참여 정도를 알아보고 작업치료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H군에 위치한 병원에 외래로 방문하는 유방암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방암 환자의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SM-B), 사회적 지지(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그리고 한국판 지역사회 참여 지표(Korean-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 K-CPI)를 측정하였다. 결과 : 자기효능감은 3.70±.38점, 사회적 지지는 3.49±.66점이었다. 지역사회 참여 정도는 주관적 특성 을 반영한 참여권 문항은 3.27±.65점이었다. 객관적 특성을 반영한 20개 활동들에 대하여 참여 빈도와 중요성을 알아본 결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활동은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요리나 집안일을 하기 그 리고 취미나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낮은 참여 빈도를 보였다. 각 변수간의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p<.01)와 지역사회 참여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결론 : 유방암 환자의 사회적 역할, 관계 등을 고려한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6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이후 우세손이 마비된 경우 기능회복 정도가 비우세손의 손상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관측이 존재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 자료는 부족하기 때문에 후향적 코호트 조사를 통해 우세손의 마비 유무에 따른 기능회복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5개 의료기관에서 1차 대상자(n=205)를 모집한 후 일반적 특성 및 뇌졸중 관련 특성, 적용된 평가도구 등을 조사하고 발병일에서 초기평가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내인 2차 대상자(n=122)를 선별하여 평가기록 자료를 수집하였다. 적용된 평가도구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하여 6개의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Modified Barthel Index; MBI, Maunual Function Test; MFT, Hand Strength Test; HST, Nine-Hole Pegboard test; NHP,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Box and Block Test; BBT). 평가기록은 평가기간(초기, 3개월 후, 6개월 후)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HST, NHP, BBT에서 우세손 마비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p<.001), MBI는 평가기간에 따른 차이만(p<.05) 보였으며 우세손 마비유무와 평가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p>.05). 우세손 마비 환자의 HST(lateral pinch, palmar pinch)와 BBT의 변화량은 비우세손 마비 환자보다 유의한 차이(p<.05)로 더 높았지만 그 외 평가결과에서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추후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다양한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한다.
        4,5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치료중재를 통한 유방암 환자의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칭, 치료적 활동 및 일상생활활동으로 구성된 작업 치료중재 프로그램을 40분씩 주 2회 총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신체기능은 한국판 간이 피로 평가지 (Korean version of Brief Fatigue Inventory; BFI-K), 기본 호흡곤란 지표(Baseline Dyspnea Index; BDI)를, 근 활성도는 surface Electromyoghraphic (sEMG)를, 그리고 암 치료 관련 기능적 평가 - 유방 암(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Breast; FACT-B)를 통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결과 : 신체기능에서 피로도와 호흡곤란 정도는 감소하였으며(p<.01), 근 활성도는 앞쪽․중간 어깨세모근, 큰가슴 근의 복장갈비머리 부분, 가시아래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삶의 질은 총점과 하위 영역 중 Physical Well-Being(PWB), Functional Well-Being(FWB), Breast Cancer Subscale(BCS)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1). 결론 : 중재 후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삶의 질 모두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이는 작업치료 중재가 유방절제 술 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길 찾는 능력과 거리를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많은 주의력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을 위해 간헐적인 주의 집중만으로 보행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손목에 착용하는 보행 보조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촉각 기술을 활용한 보행 보조 기술에서 시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촉각 정보에 병행하는 시각 정보인 화면 UI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술 수요자인 65세 이상 노인 30명에게 스마트워치를 착용시키고 Wizard of Oz로 네 가지 화면 UI로 길을 찾아가도록 지시한 후 각 화면 UI에 대한 평가 및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호도 순위, 경로를 이탈한 사람의 수, 경로 이탈 횟수에 대해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사용 경험에 근거해 새로운 이해를 얻고자 질적 연구 방법론인 grounded theory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순적인 요구사 항을 가진 노인의 손목시계형 보행 보조 장치 개발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300원
        7.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가속수명시험(HALT:Highly Accelerated Life Test)은 온도변화와 진동을 통해 부품초기 고 장을 빠르게 찾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초가속수명시 험에 집중하게 되었고 장비의 수요와 가동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초가속수명시험 장비는 대부분 해외 장비에 의존하고 있어 고장이 발생한 경우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높고 보전까지 의 시간 또한 길다. 뿐만 아니라 장비에 대한 적절한 보전절차가 없어 비용과 시간의 손실이 발 생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산화 개발중인 초가속수명시험 장비에 고장유형과 원인에 따른 계획보전 활 동을 진행 할 수 있도록,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를 사용하여 계획보전절 차를 제시하였다.
        4,000원
        8.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몇 십년동안 전 세계적으로 제조기술 분야의 급속한 성장으로 대부분의 제조 업에서 눈부실만한 품질향상과 생산성 극대화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현재 제조기술 분야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 관리하고자하는 품질특성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의 통계적 공정관리기술체계가 정규분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불량률 관리도로는 PPM/PPB 수준의 극소 불량률을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정규 공정에서 극소불량관리, 미 세변동관리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규 공정에서 극소 불량률을 관리하기 위해서   통계량에 Burr 분포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4,000원
        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스핀 정제(에피흄, 공기중 수분과 반응하여 포스핀 가스를 만드는 제형)는 현재까지 알려진 훈증약제 중 저곡해충방제를 위해 양곡창고, 검역전처리 등에 널리 사용 중이다. 또한 경제적이고 편리한 물질로 처리후 잔류성이 없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온도별 발생량이 일정치 않으며, 훈증시설을 고려하지 않고 과도한 약량 처리로 인해 포스핀 저항성 해충이 보고되고 있다. 국내 수입 곡류 보관중인 대한곡물협회에 최근 보고에 따르면 포스핀 정제를 이용한 방제에 실패하였으며, 이는 수입국에서 유입된 저곡해충의 알, 유충 등은 곡물내부에 존재하는 포스핀 저항성 저곡해충일 가능성이 높아 기존 검역 처리방법을 재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포스핀 약제 감수성을 평가하여 소독처리기준에 적용하고자한다. 본 실험에서는 포스핀 훈증제의 농도별(0.001~2.0 mg/L)로, 포스핀 약제에 노출되지 않은(감수성 집단) 어리쌀바구미와 포스핀 약제에 꾸준히 노출(저항성 집단)된 어리쌀바구미에 대해 20℃에서 약효를 확인하였다. 시험결과 감수성 어리쌀바구미는 0.02 mg/L의 농도에서 100% 사멸하였지만, 저항성 어리쌀바구미는 감수성 어리쌀바구미의 100배 농도인 2.0 mg/L 농도에서 75%의 살충율을 보였다.
        10.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 is a liquid sweetener of glucose-fructose monomer mixture, commonly known as replacement for sucrose (table sugar). HFCS was first applied to food companies in the early 1970s ever since there was a huge increase of its use worldwide, especially in beverage and processed food. While the metabolic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HFCS have been widely studied, only recently has the role of HFCS in metabolic syndrome and other health issues emerged. Studies in many laboratories worldwide have built the evidence that excessive consumption of HFCS plays a crucial role in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obesity, hypertension, and kidney disease. This manuscript reviews the history, manufacturing process, and nutritional and metabolic traits of HFCS and describes its involvement in the pathogenesis of metabolic syndromes and obesity.
        4,000원
        11.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산업의 발전으로 소비자는 다양한 기능과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기 업에서는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와 함 께 제품의 신뢰성 평가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초가속수명시험(HALT : Highly Accelerated Life Test)은 초기고장을 빠르게 찾아내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신 뢰성을 향상 시킨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초가속수명시험에 집중하게 되었고 이에 따 른 장비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초가속수명시험 장비는 해외 장비에 의존하 고 있어 장비의 국산화 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초가속수명시험 장비의 설계와 개발과정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적용 방법을 연구한다. 먼저 개발 장비 의 구조와 기능을 정의하고 일반적인 설계 FMEA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개발과정의 초가속수명시험 장비에 개선이 필요한 부품들을 확인한다. 또한 초가속수명시험 장비 의 유지보수를 위한 FMEA의 필요성을 기존 연구를 통해 제안한다.
        4,000원
        12.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제품의 개발 주기가 지속적으로 단축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에서는 이에 따른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혁신을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현재의 공학기술측면과 새로운 기술개발측면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 기술개발 실현 등 많은 발전이 있 었지만, 제품의 안전성이나 신뢰성 측면의 기술 개발 속도는 여전히 더딘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속신뢰성시험 중에 초가속수명시험(HALT : Highly Accelerated Life Test)은 최단기간에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신뢰 성시험 기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HALT의 수요가 급격히 증 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연구소와 시험 서비스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HALT 장비 는 매우 제한적이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구입과 설치에 많은 비용이 필요 하다. 이러한 이유로 중소기업에서는 HALT 장비의 효과적 활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 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ALT 장비의 국산화 개발을 추 진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HALT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한 국산화 개발을 위해 리스크 분석 방 법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4,300원
        13.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품 개발기간의 단축속도가 빨라지는 현 시점과 제품의 부품 시험을 통한 개발 과 정은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 까지는 가 속수명시험(Accelerated Life Test)법을 개발·적용해 왔다. 그러나 제품의 사용조건이 가혹해 짐으로써 온도를 이용한 가속시험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HALT는 급격한 온도변화와 6축 진동을 시료에 전달할 수 있는 장비로써 위의 조 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5]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품과 재료의 신뢰도 정보를 신속 하게 얻을 수 있는 HALT의 국내외 연구 동향과 적용 현황을 비교 분석 뿐만 아니라 HALT와 HASS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2]
        4,500원
        14.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증데이터의 분석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현상파악이다. 현 상파악은 각 부품별 보증클레임데이터를 이용하여 각부품의 현수준을 분석하는 방법 으로 단변량 분석방법이다. 즉 부품의 현 수명(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생명표법, 카 랜마이어 방법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고장원인분석이다. 부품의 고장에 다 양한 인자가 영향을 줄 것이다. 생산부터 고객의 사용조건까지 다양할 것이다. 이처럼 단순히 사용시간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원인변수를 통해서 원인을 파 악하는 다변량 방법이다. 셋째, 단변량이 아닌 다변량 수명예측방법으로 그 모형의 구 조에 따라 비례적 위험함수 모형 (proportional hazards)의 가정을 적용하는 COX 모형 과 가속화 시간 (accelerated failure time)을 적용하는 AFT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에 적합한 AFT모형을 통해서 생존 시간 자체에 대한 설명변수 의 효과를 모형화하고 각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 방법을 제시하는 이유는 COX모형의 경우 준 모수적 방법으로 위험함수의 모수적 유형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 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위험 함수 보다는 설명변수의 효과를 추정에 그 주 목적 이 있기 때문에 모형의 결과를 수명예측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 부품의 수명 및 수명에 대한 설명변수의 효 과를 모형화 하여 보증데이터를 분석하는 AFT 모형을 제시 하였고 실제 보증데이터 를 통해서 AFT 모형의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15.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증데이터의 분석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현상파악이다. 현상 파악은 각 부품별 보증클레임데이터를 이용하여 각부품의 현 수준을 분석하는 방법으 로 단변량 분석방법이다. 즉 부품의 현 수명(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생명표법, 카랜 마이어 방법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고장원인분석이다. 부품의 고장에 다양 한 인자가 영향을 줄 것이다. 생산부터 고객의 사용조건까지 다양할 것이다. 이처럼 단순히 사용시간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원인변수를 통해서 원인을 파 악하는 다변량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방법 중 Tree기법과 Cox모형을 적용 하고자 한다. 두 방법을 제시하는 이유는 이 두 방법의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최 적을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Tree의 장점은 결과 해석이 다른 모형에 비해 쉽다. 단점 은 유의한 변수가 무엇인지는 알 수 있으나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반면에 COX 모형의 경우는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인자의 기여도를 비교 적 쉽게 찾을 수 있다. 보증데이터는 다양한 정보와 고장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 며 이를 바탕으로 원인분석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 고장원인을 추정할 수 있는 다변량 분석방 법을 보증데이터에 적용해 보았고, 실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Tree 모형 및 Cox 모형를 통해서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였고, 더욱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4,000원
        16.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와 복사기와 같은 제품의 보증범위는 일반적으로 보유기간 뿐만 아니라 작동 기간(주행거리, 복사매수 등)에 의해서도 제한된다. 이와 같은 제품의 보증데이터는 보 유기간과 작동기간, 두 가지 척도에 따라 신뢰성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척도의 보증범위를 갖는 이차원 보증데이터를 이용한 신뢰 성 분석에 대한 동향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차원 보증데이터를 활용하 여 효과적으로 신뢰성 분석을 할 수 있는 연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4,000원
        17.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한된 환경인 실험실에서 짧은 시험 시간으로 신속하게 수명을 파악할 수 있는 가 속시험 데이터와 극한 환경시험 데이터는 실험실 데이터로서 정밀한 결과를 제공하지 만, 실제 사용 환경을 잘 반영하지 못한다. 그러나 사용현장데이터인 보증데이터는 보 증기간 동안 보증서비스 센터에 접수된 고장으로부터 얻어진 필드 데이터로 사용자의 실제 사용 환경에 따른 제품 고장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명을 추정하기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증데이터의 특징을 설명하였으며 보증정책에 따른 분석방법으로 1 차원, 2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동향과 적용 현황을 조사하여 보증데이 터를 사용한 필드 신뢰성 분석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4,200원
        18.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ssue is all about the study of warranty data collection and the analysis method to get a reasonabl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and improve reliability.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lassification of warranty data analyses into a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nalysis and method to get a reasonabl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Also, it is considered the research trend by group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ies. This study would be used to find the effective application and the condition of warranty data analysis.
        4,000원
        19.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시스템이나 부품에 대한 고객의 요구조건이 다양해지고 제품책임과 품질보증 등의 사회적 요구가 점차 엄격해지고 있다. 이에 기업에서는 위험을 줄이고 제품의 합리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제품 관련 보증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석과예측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수집체계 구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데이터 유형에 따른 분석 방법에 익숙하지 못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대에 어려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증데이터의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동향과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 보증데이터를 통한 효과적 분석방법과 활용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4,2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