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of Healthcare Rehabilitation Device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5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오늘날 고령인구의 증가와 장애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재활훈련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재활훈련기와 사 용자간의 제공받아야 할 서비스에 대한 평가 요소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 가에 있어서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디자인 평가를 위한 기본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재활의료전문가, 의공학자, 디자이너들의 토의 및 분석,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 디자인 평가 요소들을 수집, 분석하여 10가지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 의 세부 평가항목을 구축하였다. 이는 앞으로 재활훈련기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것이다. 둘째,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디자인 평가요소로는 사용성, 인지성, 안전성, 학습성, 운동성, 내구성, 경제성, 공간성, 심미성, 환경성의 10가지 디자인 평가요소가 있다. 셋째,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성의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고, 학습성, 안전 성, 운동성, 내구성의 요소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넷째, 재활 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요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 성에 학습성, 안전성, 운동성, 내구성을 의 요소를 더해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기존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재활 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의 차이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의 세부 평가 항목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전체적인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만을 연구한 것으로, 향후연구 에서는 시 제품 제작을 통하여 평가요소들을 실제 재활훈련기 디자인에 적용해 보고, 미진한 점들을 수정 보완 할 예정이다.

Due to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nd population of the disabled toda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evaluation indices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uses of th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order to evaluat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s in this study, the basic index for design evaluations shall be identified to search for assessment plans. Through this, new evaluation indices will be deduced through discussions and analysis of rehabilitation medical experts, biomedical engineers, and desig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design evaluation indi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struct 10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These will be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s for designing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the future. Second,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health car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are the 10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usability, cognition, safety, learning, motility, durability, economic feasibility, spac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aspects. Third,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are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oduct design, while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are factors that must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Fourth, if existing produc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of products for design evaluation indices,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on top of us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and other product designs. The 10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is research is only on the overall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In future research, the evaluation indices will be applied in the actual rehabilitation medical design device through production of prototypes, while making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where necessary.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디자인 평가요소
  2.1.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2.2. 운동기구 디자인 평가요소
  2.3. 재활기구 디자인 평가요소
  2.4. 기타 디자인 평가요소
 3.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 개발
  3.1. 집표 수집 및 분석
  3.2. 재활훈련기 평가요소 개발
 4.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 분석
  4.1. 장애에 따른 재활치료 및 운동기 분석
  4.2.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 분석 및 결과
 5. 디자인 평가요소 비교 실험
  5.1. 샘플 선정
  5.2. 제품군에 따른 디자인 평가요소 실험
  5.3. 디자인 평가요소 실험
  5.4. 실험 결과
 6. 결론 및 향후연구
  6.1. 결론
  6.2. 향후연구
 REFERENCES
저자
  • 조재상(호원대학교 건축학과) | Jae Sang Cho
  • 권대규(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 공학부) | Tae Kyu Kwon
  • 홍정표(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Jung Pyo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