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위치기반서비스 규제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5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오늘날 이동통신사업자, 스마트폰업체, 자동차 업체, 네비게이션업체 그리고 수많은 앱개발업체 들이 소비자들의 개인위치정보를 수집, 이용, 처 분하고 있고,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꺼이 제공하더라도 인터넷과 통신상의 혁신과 새로운 서비스를 향유하길 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용자들은 개인위치정보의 활용이 편리하 고 필요하다고 느끼면서도 동시에 그 개인위치정 보가 본래의 목적이외의 다른 용도로 오남용되거 나 제3자에 의해서 도용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걱정하기도 한다. 따라서 개인위치정보의 이용을 활성화하면서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그에 수반되 는 잠재적 위험을 미리 파악해서 자율적이고 효 율적인 규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오늘날의 과제 이다.
2005년 1월에 제정된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등에 관한 법률은 위치정보의 이용기반 조성 등에 관한 규정도 두고 있지만, 위치정보사업의 허가 등 진입규제와 위치정보의 보호를 위한 사업 규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미 개인정보보호법 과 전기통신망법상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를 비롯 한 상당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제 위치 정보법상의 규제는 중복적인 규제가 아닌가 생각 된다. 특히, 물건의 위치정보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한 과연 물건의 위치정보까지 추가로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 이다. 긴급구조 등의 공익적 목적을 위한 위치정 보의 활용에 관해서는 위치정보법에 규정하지 않 고 기존의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예외 규정의 형식 으로 반영될 수도 있다.
개인위치정보의 보다 효율적인 보호를 위해서 는 위치정보법의 개정 내지 폐지 뿐만아니라 개인 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상의 관련 규정도 함 께 개정할 필요가 절실하다. 특히, 현행법상 개인 정보 개념의 불명확성 내지 광범위성을 고쳐서 보 다 명확하게 해서 기업들이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 용 간의 명확한 경계선과 범위를 잘 파악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규제와 기 술혁신은 상호갈등관계를 갖고 있는데, 개인정보 의 보호를 위한 규제도 개인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혁신 및 그로 인한 소비자후생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를 하면서도 기술혁신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 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법정 책 입안자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및 사물인터넷 분야의 기술혁신과 산업 발전에 발맞추어 10년 전에 제정된 위치정보법의 개정 내지 상당 규정의 삭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절실하다.

목차
I. 서론
 II. 위치기반서비스 규제의 현황과 문제점
  1. 위치기반서비스 산업
  2. 위치기반서비스의 규제
  3. 위치기반서비스 규제의 문제점
 III. 개인정보로서의 위치정보의 보호
  1. 개인위치정보의 개념
  2. 사전동의(Opt-in) 방식의 보호
 IV. 개인위치정보 보호에 관한 외국입법례
  1. 미국
  2. 유럽
  3. 일본
 V. 개인위치정보 보호의 이론적 쟁점
  1. 개인위치정보의 본질: 인격권 v. 재산권의 보호대상
  2. 상충하는 기본권:개인정보자기결정권 v. 표현의 자유
  3. 법정책의 선택: 규제 v. 혁신
 VI. 위치기반서비스 규제개선 방향
  1. 허가신고 제도의 개선
  2. 위치정보 개념의 명확화
  3. 동의방식의 효율성 제고
  3. 법령 체계의 정비
  4. 국제적인 규범조화 및 상호운용성
 VII. 결론
저자
  • 정상조(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Sang Jo J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