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頭流全志 속 한시에 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Chinese Poems in Duryujeonj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597
  • DOIhttps://doi.org/10.14381/NMH.2016.50.06.30.2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김선신의 『두류전지』 현전하는 유일의 지리산 지리서이다. 지리산권 문화 를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두류전지』를 중심에 둔 지리·불교·문학 등 다양한 분과별 연구가 기획되었는데, 이 글은 그 중 문학 분과의 연구 성과로, 『두류전지』 제11편 「貼山詩話」 속 한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첩산시화」에는 모두 100여 개 항목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온전한 체재를 갖춘 작품은 대략 80수이다. 이들 작품은 김선신이 집필에 활용한 『동국여지승람』 과 지리산권역 10개 지역의 읍지에서 선별한 것이다. 모두 50여 명 작가의 작품이고, 시기적으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중기까지이다.
‘첩산’이라는 말은 ‘지리산에 기대어 있는, 지리산의 주변이나 가장자리’를 뜻 한다. 이는 「첩산시화」에 수록된 작품이 ‘지리산’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주변 사 람의 이야기를 담은 한시라는 의미이다. 「첩산시화」 속 한시 가운데 9할 이상이 지리산의 주변을 노래하고 있다.
「첩산시화」에 드러나는 김선신의 이러한 선별 의식은 여느 山誌의 체재와 비교해 보아도 매우 독특하다. 예컨대 『주왕산지』 나 』청량산지』에는 ‘題詠 또는 記錄’ 등의 제목 아래에 해당 산을 유람한 유람록과 유람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두류전지』에는 지리산유람록을 한 편도 실지 않았고, 유람시 또한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이처럼 김선신이 ‘지리산’이 아니라 ‘지리산 권역’을 읊은 것은 그 속에서 지 리산과 함께 살아가는 인간의 삶과 문화를 드러내고, 그들과 함께 지리산이 지 닌 온전한 덕을 후세에 전하고 싶었던 의도라 판단된다.

Kim Seon-shin's Duryujeonji is the only remaining geography book about Mt. Jiri. Multi-disciplinary researches were planned across geography, Buddhism, and literature to investigate the culture of Mt. Jiri zone with a focus on his Duryujeonji. This study presents the research findings of literature field, examining the Chinese poems in "Cheopsanshihwa" in Volume 11 of Duryujeonji.
There are total 100 Chinese poems in "Cheopsanshihwa" with approximately 80 of them keeping their complete formats intact. Those works were selected from Donggukyeojiseungram, which Kim consulted when writing Duryujeonji, and from the chronicles of ten towns in the Mt. Jiri zone. They were written by about 50 writers, spanning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o middle Joseon.
The term "Cheopsan" means "the surroundings or margins of Mt. Jiri leaning against the mountain," which indicates that the Chinese poems in "Cheopsanshihwa" depict the stories of people around the mountain rather than those of the mountain itself. Over 90% of those Chinese poems talk about the surroundings of the mountain rather than the mountain itself as part of excursion.
Kim's consciousness behind the selection process in "Cheopsanshihwa" is highly unique compared with the formats of other mountain records. Juwangsanji and Cheongryangsanji, for instance, introduce records and poems of a mountain excursion under the title of "Jeyeong" or "Records." Duryujeonji, on the other hand, contains no single excursion record to Mt. Jiri and only a small handful of excursion poems about the mountain.
Kim described the "Mt. Jiri zone" rather than "Mt. Jiri" itself because he wanted to show the lives and culture of people living with the mountain in it and pass down the complete virtue of the mountain to following generation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시의 구성 및 분류
 Ⅲ. 한시에 나타난 특징
  1. 지리산 권역에 대한 노래
  2. 인물 중심의 선별
 Ⅳ. 나가는 말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강정화(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HK교수) | Kang Jeong-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