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心齋 姜澂의 館閣生活 硏究 KCI 등재

A study on The Shim-jae(心齋) Gang-jing(姜澂)’s The life of a government offici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600
  • DOIhttps://doi.org/10.14381/NMH.2016.50.06.30.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중기 문신인 姜澂(1466∼1536)의 관료생활에 대한 연구이 다. 강징은 연산군과 중종을 거치면서 거의 평생을 관각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관료로서 강직하고 올곧은 길을 걸었던 인물이지만 한 번도 역사 속에서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조선왕조실록에 228번이나 등장하는 중요 한 인물이었으며 특히 연산군의 즉위와 함께 관직에 출사하여 중종반정으로 연 산군이 퇴위될 때까지 최 측근에서 성리학적 도덕정치의 이념으로서 연산군을 보필하며 경연관으로서 연산군을 바로잡으려고 애쓴 관료였다. 그는 언로를 열 며 이단을 막고 경연을 펼친 현저한 공이 있었다.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나약한 왕권을 흔들고 정권을 장악하려든 신진
사림파와 훈구파들의 세력다툼이 계속하여 일어났다. 중종은 강징을 형조참판으로 삼고 이 난국을 헤쳐 나가고 있었다. 이 때문에 강징은 이들의 표적이 되어 온갖 모 욕과 박해를 받았다. 그러나 중종은 그때마다 강징을 옹호했고 나라의 중대사 를 강징과 의논했다. 중종은 강징을 예조참판으로 삼고 국정을 펴 나가면서 신 진사림과 훈구파의 끈질긴 정권장악의도를 막았다. 강징은 중종을 측근에서 보 필하며 국가의 중대사를 논하는 동시에 중종을 성군으로 만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가하였다. 그는 특히 ‘敬’을 강조하여 성리학적 도덕정치의 이념을 실천 하며, 왕도를 펼치고 의로운 길을 열어갔다.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으로 기묘 사화가 발생하며 조광조 일파의 급진적 개혁의도가 중지되었다. 강징은 두 번 이나 사신의 임무를 띠고 중국을 다녀왔으며 외교에 있어서도 공이 있었다. 특 히 명나라 세종황제의 등극에 성절사로 파견되어 서예로서 명성을 떨쳤고 황제 가 국자감을 알현하는 것을 참관하는 영예를 안고 돌아왔다. 호음 정사룡은 그의 <신도비명>에서 그의 일대기를 약술하면서 관각 속의 군 자로서 표현했고, 청백리로 묘사했으며, 충신으로 묘사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A study on of The Gang-jing(姜澂;1466∼ 1536)’s The life of a government official. Gang-jing(姜澂;1466∼1536) is a great bureaucrat of letter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s officials, he is on integrity and a straight way once, a man whose lights didn't get in in the past, too. He is well educated as a great family from an ancient family. Neo-Confucianism was a discipline him. He is edifying Neo-Confucianism in the political ideologies based on the officials made my life. He mainly to study abroad to speak in court the Confucianism scripture. Lord Yeonsan, who was notorious for a great bureaucrat worker. However, a great man is just another worker to a blind, self-righteous king. Gapjja(甲子) a massacre of scholars(士禍) of Yeonsangun was dethroned during his own reign. He held a language and stop the heresy and outstanding achievement is a contest is open. Jungjong(中宗) of age Gang-jing(姜澂;1466∼1536) is a great bureaucrat too. Jungjong(中宗) of age Salimpa(士林派) and hungupa(勳舊派) of conflict is serious. A row has broken out over seizure of power. The kin of Jungjong wanted a faithful servant Gang-jing(姜澂). He is smart and faithful. He is faithful, intelligent and strong willed. He was supported to the king faithfully. He received serious criticism for opponents. The king every time it protected him. he is a great calligrapher. he has received many plaudits to from Chinese emperor. He has the public diplomacy. His tombstone describe to the loyalty and clean government employee, him. He was a superior man to use a common phrase in roya court. Key words : The Gang-jing(姜澂;1466∼1536)>, <Neo-Confucianism(性 理學)>, Lord Yeonsan(燕山君)>, <The King of Jungjong(中宗)>, <Salimpa (士林派) and hungupa(勳舊派)>, <a superior man(君子)>. <clean government employee (淸白吏)> , <loyal subject (忠臣)>.

목차
1. 문제의 제기
 2. 강징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3. 강징의 관료생활 분석
 4.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申斗煥(안동대학교 한문학과) | Shin Doo-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