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꽃송이버섯 원물과 꽃송이버섯 8% 첨가하여 유산균으로 발효한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 섯 혼합물의 수분,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버섯 원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꽃송이버섯원물 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총 식이섬유소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가 각각 89.21%와 95.74%를 차지하였 다. 꽃송이버섯 원물의 β-glucan 함량은 38.03%으로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β-glucan 함량 5.4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꽃송이버섯 원물에는 유리당 중 glucose와 fructose만 함유하고 있으며, 유산균 발효 꽃송 이버섯 혼합물은 sucrose만을 함유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꽃송이버섯 원물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 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flavonoid 함량 은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이 꽃송이버섯 원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DDPH radical 소거능은 꽃송이버섯 원물과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DD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냈 다(p<0.05).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산균 발효 꽃송이 버 섯 혼합물이 꽃송이 버섯 원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비타민 C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꽃송이버섯 원물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항산화지수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첨가하지 않는 음성대조군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균 발 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은 항산화 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천연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 mixture of rice bran and bodies of Sparassis crispa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had higher water,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 than that of S. crispa.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s of the dried powder of S. crispa and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were 46.13% and 33.46%, respectively. β-glucan was higher in dried S. crispa (38.03%) than in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5.44%). Dried S. crispa contained mainly fructose and glucose instead of containing sucrose in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found in between dried S. crispa and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than in dried S. crispa.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 the antioxidant index between dried S. crispa and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Final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ried S. crispa. These results may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AB-fermented S. crispa mix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