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사회 구조적 차원에서 알아보 기 위해, Bourdieu의 문화(언어) 자본 이론에 기초한 문항을 토대로 연구 참여자인 초등학교 교사 3명, 중학교 교사(국어 담당) 2명에게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질적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파랑새 2.0’을 활용하여 자료 입력, 코딩, 주제 생성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였다. 교사는 표면적으로 ‘일반 학생과 동일시’라는 전제하에 면담을 진 행하였으며, 면담의 과정에서 학생과의 동일시라는 전제가 은폐라는 점을 자각하고 실체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교사 인식의 은폐․실체․성찰로 범주화하여 해석하였다. 면담의 분석 결과 교사는 교육을 실행 하는 주체로서 모든 학생들을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는 의식적인 압력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특수성을 일반화하여 일반 학생들과 구별되어서는 안 된다는 동일 성을 지향하는 인식의 은폐로 ‘ ’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배경 학생에 대한 인식의 근원에 는 외모 차이, 가정의 사회경제적 환경 인정, 타자화․저성취에 대한 묵인․무관심의 순환 과 같은 ‘인식의 실체’가 놓여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입장을 되돌아보는 경험을 통해 ‘인식의 성찰’ 과정을 거쳤다. 이로써 다문화 배경 학생에 대한 교사 인식의 이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objective, the present study designed questions based on Pierre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and observe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wo middle school teachers who were teaching Korean language. Those teachers interviewed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the questions which were later to be interpreted critically. Based up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bluebird 2.0” was to derive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data entry, coding, generated topics.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showed that it superficially seemed that the teachers carried out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s equally as they did with ‘Korean culture-based students.’ In fact, however, the teachers used a double standard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the interviewing process. With the results of observat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teachers' problematic mind into the dimensions of ‘concealment’, ‘substance’, and ‘introspec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under conscious pressure that they have to treat every student on equal base. It was expressed into ‘the concealment of recognition’ which is an psychological orientation that the peculiarity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should be generalized and they should not be discriminated from Korean culture-based students. However, they had such ‘conscious substance’ due to difference in appearance, acknowledgement of socio-economic environment of their families, circulation of the acquiescence and indifference of others, and their low achievement caused by their recognition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Furthermore, the teachers went through ‘introspection of one's recognition’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looking back their background. This study revealed another aspect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