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현실을 패러디한 인디게임의 희비극성 연구 KCI 등재

Analysis of Parody Game as Tragicome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0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디지털 게임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인 동시에 현대 사회의 문제를 재현하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문 화 콘텐츠이다. 본 연구는 현실을 패러디한 인디게임의 서사와 플레이의 특징을 곤잘로 프라스카의 확장 모델 개념을 적용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게임이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고 반영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예 술 양식임을 증명했다. 현실 패러디 게임의 경우, 이면적으로는 개발자가 실제 세계의 사회 문화적 문제들을 비극적으로 인식하되, 표면적으로 플레이어에게는 희극적인 패러디와 반복적 플레이를 통해서 풍자와 아이러니 로 전달한다. 특히 디지털 게임의 경우 ‘플레이’라는 과정추론적 형식을 통해서 ‘패러디’의 내용을 재현하고 전 달한다는 점에서 특이할 만하다. 이처럼 현실 패러디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진지한 주제(serious theme)를 1인 칭 입장의 캐주얼 플레이(casual play)를 통해서 경험하며, 희극적인 서사를 통해 비극적인 현실을 직접적으로 인지하게 된다.

Digital game is an entertainment content as well as a cultural content so that digital game can deliver social messages to make people confront with current problems. Based on Gonzalo Frasca’s expanded model theo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dependent games parodying reality on the level of the narrative and the gameplay to demonstrate that digital game can be a powerful medium to represent a satire on society. Parody games describe irrational side of society as being comical and provoke players’ repetitive gameplay. Therefore, players can experience serious theme through casual play in the first-person, and realize the tragic reality directly.

목차
1. 서 론
  1.1 연구목적 및 연구대상
  1.2 선행연구사 및 연구방법론
 2. 현실 패러디 게임의 희극적 구성 요소
  2.1 만화적 과장과 아이러니한 세계관
  2.2 반복적 플레이와 우연성
 3. 희비극 역전을 통한 풍자 효과
  3.1 다층적 의미 결합을 통한 비장미
  3.2 부조리한 세계 인식과 극복 의지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한혜원(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Hye-Won Han Corresponding Author
  • 김수진(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Su-j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