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실태 조사 KCI 등재

A Survey on Occupational Therapy at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1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전반적 사항과 작업치료 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 고 이러한 작업치료 실태의 의견을 조사하여, 앞으로 이 분야에서 작업치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5년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국내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고 각 기관의 대표인 책임 작업치료사 51명에게 우편 혹은 직접 방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아동 정원은 31~60명으로 전체의 56.9%였으며 84.3%의 장애아전문어린이 집이 미취학과 취학 아동 모두를 치료하였고, 중복응답으로 했을 때 아동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100.0%, 뇌병변장애와 자폐성장애가 각각 96.1%였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전문가 구성은 보육교사가 44.1%, 특 수교사가 31.0%, 언어재활사가 11.2%, 작업치료사가 8.7%이었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일일 평균 치료횟수는 7~9회이었고(70.6%) 치료시간은 30~40분이었다(94.1%).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법안에 대해 치료사 배치 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100.0%, 치료사 인원 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96.1%, 급여 차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100.0%로 나타났다. 결론 : 장애아동들이 최적의 보육 환경 안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각 전문가들의 업무 체계가 정립되고 치 료와 교육 분야가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the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at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to present a way to proceed with them. Methods : A total of 51 occupational therapists in charge at a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Korea responded to be a questionnaire by mail, and visited between July 21 to August 31 of 2015. Results : The largest number of children in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31 to 60(56.9%), and 84.3% of the children were found to be of preschool and school age. Based on the responses, the diagnosis of the children was in order of intellectual disability(100.0%), brain lesions(96.1%), autistic disorder(96.1%). The professionals were made up child care teachers(44.1%), special education teachers(31.0%), languages rehabilitation specialists(11.2%), and occupational therapists(8.7%). In the overall data for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treatment time was 7 to 9 times(70.6%) daily on average, and the treatment time was 30 to 40 minutes(94.1%). As for the opinion regarding the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provisions for assigning therapists(100.0%), therapist personnel regulations(96.1%), and salary differential improvements(100.0%) are needed.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set up systematic work of experts from each field and solve collaborative practices between therapy and education to help provide the disabled an optimal child care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전반적 사항
  3.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사항
  4.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실태에 관한의견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강석구(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ang Suk-Gu
  • 이춘엽(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Chun-Yeop Corresponding author
  • 김희정(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Hee-Jung
  • 홍기훈(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Hong Ki-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