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보습 효과 KCI 등재

Moisturizing Effect of Jellyfish Collagen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파리로부터 콜라겐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보습 효과 는 caspase 14 발현, filaggrin, hyaluronan synthase-3 (HAS- 3), aquaporin-3 (AQP-3) 및 desmocollin (DSC)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spase 14 mRNA 발현은 비교물질인 retinoic acid (RA)와 유사한 효 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콜라겐 추출물은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211.7%, 139.9%, 212.5% 및 116.8%의 filaggrin, HAS-3, AQP-3 및 DSC 발현 증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oisturizing effects of collagen extract from jellyfish. The mositurizing effects were measured by the caspase 14 expression, filaggrin, hyaluronan synthase-3 (HAS-3), aquaporin-3 (AQP-3) and desmocollin (DSC). As a results, effect of caspase 14 mRNA expression of collagen extract are similar to that of retinoic acid (RA) which is a reference control. And the collagen extract showed inhibitory of filaggrin, HAS-3, AQP-3 and DSC mRNA expression of 211.7%, 139.9%, 212.5% and 116.8%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2%. Therefore, our study suggested that jellyfish collagen extract ha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cosmetics ingredient with moisturizing effect.

목차
1. 서 론
 2. 실험 방법
  2.1. 재료
  2.2. 일반성분 분석
  2.3. 아미노산 분석
  2.4. 당 분석
  2.5.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제조
  2.6. 세포 배양
  2.7. MTT Assay
  2.8. RT-PCR
  2.9. Filaggrin 발현 증가 효과
  2.10. Caspase 14 발현 증가 효과
  2.11. Hyaluronan Acid Synthase-3 (HAS-3) 발현 증가 효과
  2.12. Aquaporin-3 (AQP-3) 발현 증가 효과
  2.13. Desmocollin (DSC) 발현 증가 효과
  2.14.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조성 및당 분석
  3.2. 세포 독성
  3.3.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Filaggrin 발현 증가 효과
  3.4.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Caspase 14 발현 증가 효과
  3.5.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Hyaluronan Acid Synthase-3(HAS-3) 발현 증가 효과
  3.6.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Aquaporin-3 (AQP-3) 발현증가 효과
  3.7.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Desmocollin (DSC) 발현 증가효과
 4. 결 론
 Reference
저자
  • 김동욱((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Dong Wook Kim
  • 백태선((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Tae Seon Baek
  • 김윤정((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Yun Jeong Kim
  • 최성규((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Sung Kyu Choi
  • 이대우((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Dae Woo Lee 주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