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들어서서 개인용 컴퓨터 및 그래픽 프로그램 이용의 확산과 함께 비전문가에 의한 지도 제작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역사지도의 경우 역사학자와 일러스트레이터가 협업을 한 형태의 지도 제작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지도 이용의 확대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지도학적 요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부정확한 지도가 무분별하게 확대 재생산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8년간 역사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제작한 ‘동북아역사지도’를 역사지도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투영법, 도곽 범위 및 축척, 고도와 수심의 표현, 기호와 범례, 지도 가독성, 대한민국의 위치 ․크기 ․형태 ․범위의 적절성 등의 지도학적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으며, 지명의 한글표기, 독도 ․동해 표기 등의 원칙도 지켜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역사지도 제작시 준수되어야 할 지도제작 원칙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maps which is made by non-professional cartographers is growing with the spread of personal computer and using computer graphic programs. Especially, historical maps and atlases are mainly compiled by the co-work with historians and computer graphic illustrators in South Korea. This phenomenon could be analysed as positively in terms of spread of using maps, but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of incorrect maps is rather high. This author set the cartographic standards and evaluate the Northeast Asia historical maps as a case study of historical atlas, which is mainly compiled by historians. As a result, the maps did not follow cartographic standards, for example, map projection, map extents, map scale, hypsometric tint, bathymetric tint, symbols and legends, map legibility. Moreover, the maps did not follow the obligatory national identity standards which are toponyms should be written in Korean and Dokdo and East Sea should be written in any maps. To solve these problems, cartographic standards in making historical map urgently need to be set up systematically an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