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양고지도와 「황조일통여지전도(皇朝一統輿地全圖)」를 통해 살펴본 조선후기의 북방영토 KCI 등재

Northern Territory in late Joseon Period Through Old Western Maps and 「Huang Chao Yi Tong Yu Di Quan T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612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6.16.2.0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양고지도와 황조일통여지전도를 통해 조선의 북방영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양고지도에 표시된 조청경계의 유형을 분석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18세기에 제작된 서양고지도의 경우는 간도와 같이 확실한 정치적 통제가 되지 않았던 지역의 경계 표시는 불명확하다. 따라서 영유권 주장의 근거로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취약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황조일통여 지전도는 1885년의 감계회담에서는 청나라에 의해 토문강과 두만강이 동일한 강이라는 근거자료로 사용되었지만, 1887년 회담에서는 이중하에 의해 두만강 발원지가 홍토수라는 사실을 주장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리고 현재는 홍토수가 북한과 중국과의 경계선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고지도를 북방영토의 영유권 주장의 근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입장에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Northern Territory in late Joseon Period through Old Western Maps and Huang chao yi tong yu di quan tu. Firstly, the types of borderline between Joseon and China represented in Old western maps were analysed. Throughout the eighteenth century, maps remained inaccurate with regards to actual political control in regions of Gando. So these maps have serious problems for use in territory sovereignty claim. Secondly, Huang chao yi tong yu di quan tu was used by China for the Tomun and Duman to be same river in 1885 Border meetings. But it was used by Lee Jung-Ha for the argument that the source of Dumangang was Hongtosu in 1887 meetings. Now Hongtosu is the border lin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In conclusion, the old map should be objectively and throughly investigated to be used for the claiming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northern territory.

목차
I. 서론
 II. 서양고지도의 조청경계
 III. 「황조일통여지도」로 살펴본 조청경계
 IV. 결론
 註
 참고문헌
저자
  • 정인철(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 In-Chul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