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effects of camp-type Intensive Learning Program to prepare for the state examination KCI 등재

국가면허시험 대비 합숙형 집중몰입교육프로그램 운영 효과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3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 차이는 교육방법을 어렵게 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 다. 본 연구는 집중몰입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문대학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방 법: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여름방학동안 합 숙을 통한 집중몰입교육을 실시하여 매년 12월에 치른 국가고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만족도는 on-line으로 설문하였다.
결 과: 집중몰입교육을 개발·운영한 결과,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3학년 학생들의 국가고시 합 격률이 전국 안경광학과 국가고시 평균 합격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결 론: 집중몰입교육은 학업 성취 향상을 보였으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경사 면허 증 취득을 위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기에 다른 전공의 경우 전공 교과목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Purpose: The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make the education method difficult. This study aim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with intensive learning program.
Methods: An intensive learning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graduates-to-be through a training camp during summer vacation from 2012 through 2015,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score in a mock test and the result of the state examination taken in December each year were analyzed. A survey on their satisfaction was conducted on-line.
Results: Results of the developing and operating an intensive learning program, The state examination acceptance ratio of the 3rd grade junior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Dongw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relatively higher than any other department of optometry in korea. Also department satisfaction was high. Conclus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with intensive learning program. But this research program has been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student characteristics for the optician's license. So it is necessary to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Mi-Ok Yun(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양산) | 윤미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