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Condi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 KCI 등재

전국 시각장애인의 실태에 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3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사회적 소외계층으로 약자인 시각 장애인의 실태파악을 통해 시각 장애인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을 인식시키고, 시각 장애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 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1년 장애인실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조사값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시력장애는 남성은 149,720명(58.3%), 여성은 103,429명(40.3%), 그리고 시야결손장애는 남성 2,444명 (1.0%), 여성은 1,248명(0.5%)으로 시각장애인은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많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발생 시기는 출생 전 또는 출생 시가 8,186명(3.2%), 돌 이전 10,452명(4.1%), 그리고 돌 이후 23,8037명 (92.6%)로 나타났다. 여성의 장애 등록 증가율이 남성보다 2배 높았으며, 시각장애인의 3개월 동안 월 평균 소득은 51.4만원으로 나타났다.
결 론: 시각 장애인의 시력 실명 예방과 시력 회복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 등이 정부 차원에서 필요하며, 무엇보다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인권과 권리에 대한 깊은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research is going to show the necessity of a concern and the data as basis for the research of the visual disabled through condition analysis of the visually impaired as second-class citizen. Methods: The date were analyzed through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ocument 2011.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18.0 and p-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Visual impairment of male and female was 149,720 people(58.3%) and 103,429 people(40.3%), and visual field defect impairment was male 2,444people(1.0%) and female 1,248people(0.5%). Visual disabled of male was more than female. Time of occurrence showed antenatal or birth 8,186people(3.2%), before the celebration of a baby’s first birthday 10,452 people(4.1%), and after the celebration of a baby’s first birthday 238,037 people(92.6%). Female disabled registration rate increasement showed twice higher than that of male’s. 3 month average earnings of the visually impaired showed 51.4 ten thousand won. Conclusions: There is need for blindness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recovery of eyesight for the disabled at government level. In addition, we need to have interest about the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References
저자
  • Wan-Seok Lee(성덕대학교 안경광학과, 영천) | 이완석
  • Ki-Hun Ye(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 | 예기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