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Induced Accommodation Relaxation Methods on Visual Function in Young Adults KCI 등재

유도된 조절부담 완화방법이 젊은 성인의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3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젊은 성인에게 조절부담 완화방법으로 낮은 가입도의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및 멀티포컬 소 프트 콘택트렌즈를 처방한 후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 20대 성인 22명(23.36±2.57 세)을 대상으로 단초점 콘택트렌즈,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를 단순맹검법으로 양안에 착용시키고 일주일의 적응기간이 경과한 후 조절을 유도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1시간 동안 40 cm 거리에서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한 후 양안 개방상 태에서 양안 원·근거리 대비시력, 입체시력, 가독력, 유령상(ghost image), 바늘귀에 실꿰기 및 시기능 관 련 설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양안 원거리 100% 대비시력과 양안 근거리 100%와 10% 대비시력은 교정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 었고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차이가 없었으나, 10% 원거리 대비시력은 모노비전에서 가장 낮았다(p<0.05). 입 체시력은 모노비전의 경우 가장 낮았으며(p<0.05), 다른 교정방법은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차이가 없었다. 가독력은 모노비전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가장 느리고 부정확했으며(p<0.05), 다른 교정방법은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차이가 없었다. 유령상(ghost image)은 교정방법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원·근거리 시력, 입 체시, 적응도에 대한 설문 만족도 조사에서는 변형된 모노비전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단초점 콘택트렌즈 와 차이가 없었지만 모노비전은 다른 방법보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결 론: 젊은 성인에서 낮은 가입도의 변형된 모노비전 콘택트렌즈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기능 은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모노비전의 경우에는 저대비 원거리시력, 입체시력, 가독력 및 시기능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d the effect of induced accommodation relaxation methods on visual function in young adults with monovision, modified monovision and multifocal contact lenses of low add powe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two young subjects (23.36 ± 2.57 years) were fitted with single vision contact lenses, monovision, modified monovision and multifocal contact lenses with masking method. After wearing the contact lenses for a week for adaptation, binocular contrast visual acuity (VA) at distance and near, stereoacuity, ghost image, legibility, thread a needle and subjective visual performance with questionnaires were evaluated with each of these modalities. All the assessments of visual function were made after 1 hour watching visual display at computer for induced accommodation.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nocular 100% distance contrast visual acuity, 100% and 10% near contrast visual acuity between these modalities and single vision as control, however, 10% binocular distance contrast visual acuity was lowest with monovision(p<0.05). Stereoacuity was lowest with monovision compared with other modalities(p<0.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ther modalities. Both of accuracy and speed of legibility worst with monovision compared with other modalities(p<0.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ther modalities. The distance and near visual satisfaction, stereoacuity and adaptation measured with questionnair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odified mono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single vision contact lens, however, those with monovision showed worst satisfaction.
Conclusion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visual function in young subjects fitted with low addition of modified mono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vs single vision contact lenses, however, with monovision contact lenses, low contrast distance visual acuity, steroacuity, legibility and visual satisfaction were decrea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통계분석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 특성
  2. 근거리 작업 후 양안 대비시력
  3. 근거리 작업 후 근거리 입체시력
  4. 근거리 작업 후 유령상(ghost image)
  5. 근거리 작업 후 가독력
  6. 바늘귀에 실꿰기 및 설문조사 분석
 Ⅳ. 결 론
 References
저자
  • A-Young Lee(다비치안경체인 광장동 올림픽대교 북단점) | 이아영
  • Koon-Ja Lee(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