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다방면에서 기술의 비약과 진보를 가져왔으며, 이에 따른 방대한 콘텐츠의 홍수가 무차별적으로 범람하고 있다. 콘텐츠의 패러다임은 양질의 콘텐츠를 요구함과 동시에 디자인적 해석에 의한 콘텐츠디자인의 개념은 질적 향상을 요구하 게 되었다. 그러나 그 의미에 있어서 콘텐츠를 단순히 외형적인 작업으로 이해하려는 단일한 견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 다. 따라서 콘텐츠와 디자인이 지닌 각각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콘텐츠디자인의 보편타당한 개념적 정의를 확립하는 탐구 가 필요하다. 또한 성공적인 콘텐츠디자인 결과론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서 선용되고 있는 인프라스트럭처의 적용을 통해 효율적인 프로세스의 확립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디자인을 수행함에 있어 기획초기 단계에서부터 과정에 따르는 결과도출의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콘텐츠디자인에서 인프라 스트럭처의 적용은 개발의 편의성을 토대로 핵심가치(Core Value)를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의 인력양성에 있어 기틀을 마련해줄 수 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미래지향적 측면에서 콘텐츠디자인의 인프라스트럭처는 미진한 연구에 상충하는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결부된 다각적 관점에서의 학제 간 연구를 기반으로 그 가치를 높여야한다. 이 같은 내용에 따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대학교육에서 역시 이를 대비하는 의미로써 체계적인 교육적 효과를 위한 주요 범 본으로 초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21st century has brought a rapid progress of technology in various aspects and consequently, there has been an indiscriminate oversupply of massive contents. The paradigm of content not only has demanded a high-quality content but also, at the same time, requires qualitative advance in content design based on design interpretation. However, a single view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ontent as a simple external work has formed a large major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stablishing an universal conceptual definition of content design by analyzing the each meaning of content and design. Also, as a measure for successful content design result, a direction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process has been examined by applying the infrastructure that is being discreetly used in various fields. The utility from the early stage in planning to the outcome following the process in conducting a content design has been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infrastructure in content desig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not only create a core value based on development convenience but also pave the way for manpower training in related fields. In future-oriented aspect, the infrastructure of content design should secure the expertise to countervail the loose ends in research and its value should be increased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multilateral aspects. In this regard, as means for university education train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to prepare the above, it is expected to be a principal example for a systematic education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