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상 Ⅰ급 교합과 Full-CUSP Ⅱ급 교합의 두개골 구조거동 비교 해석연구 KCI 등재

Comparative Study on Structural Behaviors of Skull in Occlusions for ClassⅠ and Full-CUSP Class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2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최근 치의학 분야에서도 인체에 대한 구조적이고 역학적인 이해를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CT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유한요소모델링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제 안된 해석기법을 통해 교합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정상 Ⅰ급 교합과 Full-CUSP Ⅱ급 교합상태의 두개골 모델에 대하여 기 하비선형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악골이 같은 거리만큼 이동할 때 사람의 실제 교합력 범위에서는 두 모델의 교 합력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력분포를 비교했을 때 정상 Ⅰ급 교합모델은 치아 및 치조골 전반에 응력 이 균등하게 발생하는 반면, Full-CUSP Ⅱ급 교합모델의 경우 일부 구역에 응력집중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치아의 부재 및 재배열로 인하여 교합면이 달라지면서 생긴 결과라고 분석된다.

Recently, finite element analysis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for structural and mechanical understandings of human body in the dentistry field. This research proposed an effective finite element modeling method based on CT images, and parametric studies were performed for the occlusal simulation. The analyses were performed considering linear material behaviors and nonlinear geometrical effect, and validat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addition, the skull models with two different molar relations such as Class Ⅰ and full-CUSP Class Ⅱ were generated and th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As resul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dibular movement and occlusal force of both two models showed similar tendency in human occlusal force. However, stress was evenly distributed from teeth to facial bone in the skull model with Class Ⅰ, while stress concentration was appeared in the model with full-CUSP Class Ⅱ due to the changes of occlusal surfaces of the model.

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3차원 유한요소모델링
  2.2 실험을 통한 해석결과 검증
  2.3 Full-CUSP Ⅱ급 교합모델
  2.4 정상 Ⅰ급 교합모델과 Full-CUSP Ⅱ급 교합모델의해석결과 비교분석
 3.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여경(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Yeo-Kyeong Lee
  • 박재용(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Jae-Yong Park
  • 김희선(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Hee-S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