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원 관요에 대한 재론: 명칭과 설치시기의 연구사적 검토 KCI 등재

Review on Bunwon Gwanyo: Study History on Name and Time of Establishing Kil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3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5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司饔院의 分院官窯는 조선 도자기 역사의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이 고도 근원적인 연구 주제이다. 분원 관요를 준거로 하여 시기구분을 비 롯한 도자 양식 연구 및 官職연구, 관요의 명칭 문제 등 여러 세부 주제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조선 왕실의 정책의 단면을 파악하고 문화와 생활 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선 분원 관요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주지하듯이 분원 관요는 朝鮮前期에 京畿道廣州일대에 설치되어 조선 말 민영화되기까지 조선 왕실과 궁궐 및 관청에 도자기를 납품한 막중한 임무를 수행했다. 따라서 국가의 정책이 곧 관요의 도자기 제작 과 양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관요를 중 심으로 왕실 및 궁궐자기가 대량생산되었고, 관요 백자 양식이 탄생했 으며, 도자기 제작 판도에도 변화가 일어 분청사기가 쇠퇴하고 백자가 성행했다.
그러므로 이 글의 목적은 분원의 개념과 명칭 및 설치시기에 대한 학 계의 공통된 견해를 수렴하여 통합된 학설을 세우려는 것이다. 따라서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분원 관요에 대한 학술적 성과, 즉 官窯 址의 발굴과 지표조사, 특별전, 학술대회 등의 주요 성과를 연대별로 정 리했다. 아울러 전문 연구자들의 논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한 시대는 조선 초부터 분원 관요가 설치되고 조선 말 민영화되기 전까지 다.
학술적 성과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도박물관과 경기도자박물관(구 조선관요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해강도자 미술관을 주축으로 한 국공사립기관의 참여와 활약으로 축적되었다. 학 술 활동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는 1990년대와 2000년대였고 2010년대는 2015년 현재까지 다소 저조한 편이다.
광주 관요 출토의 중요한 도편은, ‘內用’명 백자편, ‘見樣’명 백자편, 기린문 청화백자편, 운룡문 청화백자편, ‘좌’ 또는 ‘우’명 백자, 각종 干支 및 숫자가 기명된 백자편, 중국 연호명 백자편, 각종 点刻銘백자편 등 이며, 이를 근거로 편년이나 도자 양식의 규명이 가능했다.
분원 관요의 개념과 명칭에 대해 학계의 주요 논저에서는, ‘司饔院이 세운 沙器製造場으로서 조선 전기부터 존재한 조선을 대표하는 최대의 관청수공업장’이라고 정의했다. 즉 분원은 사옹원이라는 관청이 세운 가 마이며, 이를 압축하면, 본원인 사옹원의 분원이다. 아울러 ‘광주 분원’, ‘광주 분원 관요’, ‘광주 沙器所’, ‘광주 燔造所’, ‘광주 磁器所’, ‘분원 번 조소’ 등이 조선시대의 명칭을 계승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관찬기록에 의하면, 번조소와 자기소는 주로 광주 분원 관요에 한하여 지칭한 명칭 이었다. 이에 반해 사기소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가마를 지칭할 때 두루 사용된 명칭이었다. 또한 분원의 설치시기에 대해서는 필자가 1467년 4~12월이라는 연대를 발표하였다(본문 각주 16).

Bunwon Gwanyo[government kiln] of Saongwon is a core and underlying subject of research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ceramics in Joseon Dynasty. That's because it is possible to draw several detail subjects such as the periodization, the style of ceramics, the government post, and the names of Gwanyo, etc. through studying Bunwon Gwanyo. Furthermore the study on Bunwon Gwanyo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royal policies and the culture and daily life in Joseon Dynasty.
As is well-known, Bunwon Gwanyo was established at Kwangju in Gyeonggi-do Province and managed to produce ceramics for royal family, palace, and central government till privatization in 1884 in Joseon Dynasty. Thus the organization of Gwanyo for the production and the style of ceramics was sure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policy, directly or indirectly. Gwanyo began to produce the royal and palace ceramics in quantity, and the refined style in quality. Also there was a change in the production trend from Buncheong to white porcelain. From the establishment of Gwanyo, white porcelain became to prevail, whereas Buncheong was on the declin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organize and unify the concept, name and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Bunwon Gwanyo by looking into the various and common theory of the academic research papers. Also the academic publications on Bunwon Gwanyo published from 1960s to 2010s such as excavation reports, academic symposiums, special exhibitions of Bunwon Gwanyo have been examined in a chronological order. The period to be surveyed is from the establishment till the privatization of Bunwon Gwanyo in Joseon Dynasty.
The academic publications or results on Bunwon Gwanyo have mostly accumulated by the excavations and the special exhibitions of Na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Gyeonggi Provincial Museum, Gyeonggi Ceramic Museum(former Gwangju Joseon Royal Kiln Museum),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Haegang Ceramics Museum. The most active period of academic research was the 1990s and 2000s, but the 1st half of the 2010s has tended to be inactive.
The most important or datable sherds from the site of Gwanyo are white porcelain with the inscriptions of 'Naeyong(內用)', 'Gyenyang (見樣)' 'jwa(左)', ‘u(右)’, the sexagenary cycle, number, Chinese era name, and the inscriptions by stippler, etc. In addition, blue and white porcelain with design of cheonma(a horse with wings), and of dragon and clouds. The study on the chronology and the style of Gwanyo ceramics have been based on these datable sherds.
According to main academic journals and books, the concept and name of Bunwon has been defined as the largest and the only representative government kiln in scale, and Bunwon was established by Saongwon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Buwon was the kiln established by Saongwon, a body of central government in Joseon Dynasty, which was shortened as 'Bunwon of Bonwon Saongwon'. As well, Gwangju Bunwon, Gwangju Bunwon Gwanyo, Gwangju Sagiso, Gwangju beonjoso, Gwangju Jagiso, Bunwon beonjoso are the names from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government historical sources of the Joseon Dynasty, Beonjoso and Jagiso mainly indicated Gwangju Bunwon Gwanyo. On the contrary, Sagiso was the very extensive and common name for the kilns in the country. As well, I have advocated the time of establishing Bunwon Gwanyo as between April and December, 1467(footnote 18).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분원 관요의 학술적 성과
  2. 분원 관요의 개념과 명칭 검토
  3. 분원 관요의 설치시기 검토
 Ⅲ.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김영원(전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 Young-W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