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9, 10세기에 만들어진 돈황 막고굴 제231, 237, 72굴 서 쪽 벽감 천장에 있는 서상도(瑞像圖)나 장경동에서 가져온 견본화(絹本 畵)에 그려진 서상 중에 미륵이라는 제기(題記)가 있는 도상을 다루었 다. 특히 이 도상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수정을 거쳐 새로이 알 게 된 사실을 추가하였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천축백은미륵서상(天 竺白銀彌勒瑞像)’에 관해서는 미륵을 백은색(白銀)으로 보는 근거를 고 찰하였고, ‘미륵수석가현서상(彌勒隨釋迦現瑞像),’ ‘건타라국백석미륵서 상(健陀羅國白石彌勒瑞像)’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의 견해(同定)에 의 문을 제기하였다. 또, ‘복주철미륵서상(濮州鐵彌勒瑞像)’의 경우를 보면, 인도나 우전(于闐)의 서상이 대부분인 돈황의 서상도 가운데에 극히 드 물게 중국 내지의 서상으로, 문헌 사료에 따르면 구리(銅製)로 만든 모 조상이 개봉(開封)의 건국사(建國寺, 후의 相國寺)에 안치되어 여러 영 험을 보였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돈황 사본의 서상기(瑞像記)에는 복 주의 상이 우전의 우두산(牛頭山)으로 찾아 와서 거주하였다고도 한다. 본 원고의 마지막에서는 하남(河南), 서역의 우전, 돈황으로 내력(由緖) 이 옮겨다녔던 복주천미륵서상의 성격과 의미를 논하였다.
9、10世紀の敦煌莫高窟第231、237、72窟等の西壁龕頂 の瑞像図や、蔵経洞将来絹本画に描かれた瑞像の中で、弥勒という題記の ある像について取り上げ、それらに関する先行研究を検証し、修正や新知見を 加えた。すなわち、天竺白銀弥勒瑞像については、弥勒を白銀色とする根 拠を考察した。弥勒随釈迦現瑞像犍陀羅国白石弥勒瑞像について は、先行研究の同定に疑問を提示した。また、濮州鐡弥勒瑞像は、インド や于闐の瑞像が大多数を占める敦煌の瑞像図においては珍しい中国内地の 瑞像で、文献史料によれば銅製の模造像が開封建国寺(後の相国寺)に 安置されていろいろな霊異を現した。さらに敦煌写本の瑞像記には、濮州の像 が于闐の牛頭山にやって来て止住したという。本稿では最後に、河南、西域 于闐、敦煌と由緒が推移した濮州鐡弥勒瑞像の性格や意味を論じ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