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탐색 KCI 등재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Utilized Cultural Herit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8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유산의 올바른 이해와 해석을 통해 이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더욱 발 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1975 년부터 시작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은 다음 세대에 물려주어야 할 인류의 문화 양식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최근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 관광사업 등 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세계화로 인해 각국 문화의 획일화, 종속화, 상업화가 가 속되고 있어 각국 고유 문화유산의 보존과 계승, 발전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는 문화유산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해석이 선결되어 가능한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에 관한 이해와 해석 능 력을 함양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제시한다. 먼저 문화콘텐츠, 교육콘텐츠 로서 문화유산의 의미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문화유산교육이 중요한 이유와 문화유산을 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즉 문화유산교육과 문화유산을 통한 교육을 설명한다. 기존 선 행연구를 통해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몇 가지 사례를 찾아보고, 이를 더욱 구체화시 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유산의 이해와 해석, 보존과 발전을 고무시킬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며 마무리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acquiring righ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cultural heritage for seeking to developing plan. Since 1975, World heritage adopted by the General Conference of UNESCO, cultural heritage begin to be acknowledged as a cultural style of humanity which have to be leave to the next generation. In recent years, business of culture and tourist related cultural heritage have activated. On one hand, culture of various countries confronts uniformity, satel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caused by globalization. For this, preservatio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are needed. There for, in this study suggest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a one way to acquire righ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cultural heritage. First,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as cultural contents and educational contents also explained why cultural education is important. Second, study argued two kinds of perspectives o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duc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nd education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Lastly, study found some case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utilized cultural heritage and proposed developing plans. Based on results, the possibi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acquiring righ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cultural heritage for seeking to developing plan were present.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문화콘텐츠, 교육콘텐츠로서의 문화유산
Ⅳ. 문화유산교육과 문화예술교육
1. 문화유산교육이 중요한 이유
2. 문화유산의 교육과 문화유산을 통한 교육
Ⅴ.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탐색
1. 무형문화유산 중심의 체험형 교육
2. 유형문화유산 중심의 탐방형 교육
3. 유・무형문화유산의 조화를 통한 통합형 교육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홍애령(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강사) | Hong Ae-R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