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친환경농업의 천연제초제 개발을 위한 Rumex속 종간 Allelopathy효과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95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Rumex속 식물의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 제초제 등의 자원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이 식물의 생육특성과 Allelopathy효과를 알아보았다. 돌소리쟁이 수용성추출액을 이용하여 벤트그라스 (Agrostis stolonifera subsp. stlolnifera), 배추(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이탈리안라이그라 스, 토끼풀(Trifolium repens), 가시비름(Amarathus spinosus), 들묵새(Festuca myuros)등의 상대 발아율을 조사하 여 수용성 추출액이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아가 억제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제주도 위해식물인 가시 비름이 수용성추출액 50% 이상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여 선택적으로 가시비름에 많은 억제력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애기수영의 수용성 추출액을 이용하여 벤트그라스(Agrostis stolonifera subsp. stlolnifera),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배추(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크림슨클로버 (Trifolium incarnatum),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토끼풀(Trifolium repens), 등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는데 수용성 추 출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아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추의 경우 100%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아 배추의 생장에 억제력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평균발아일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umex속의 식물의 수용성추출액을 실험하므로써 식물의 선택적 생장억제력을 알수있었으며 이 실험자료를 토대로 친환경농가에서 대상 식물의 방제에 직접 사용해 볼 수 있고, 추후 친환경자재 개발의 기초자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 이가형(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송진영(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하영삼(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김도훈(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박우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강영길(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송창길(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