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ssessment of Vis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Vision for the Homeless KCI 등재

노숙인의 시각기능과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3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노숙인의 시각기능과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여 노숙인의 시각 상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15년 6월부터 7월까지 서울과 대전의 쉼터 노숙인 147명(남성 129명,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한 국어판 NEI-VFG-25을 이용하여 노숙인의 시각기능과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147명의 대상자 중 18명은 연령을 공개하지 않아 관련된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설문의 결과는 최저 및 최 고 점수를 각각 0과 100으로 변환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시각기능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노숙인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전반적인 시력은 각각 29.08점과 56.31점이었다. 시각기능과 관련 하여 원거리 시력은 59.96점, 근거리 시력은 52.39점, 눈 통증은 60.99점, 색각은 71.40점, 주변부 시력은 62.24점이었고, 시각관련 삶의 질과 관련하여 사회적 기능은 67.89점, 정신적인 건강은 56.72점, 역할의 제 한은 43.60점, 의존성은 70.77점이었다.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은 시력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p<0.05), 나이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노숙인의 시력은 근거리가 가장 낮았고, 현재의 시각상태는 일의 성취에 제한을 준다는 의견이 많 았다. 노숙인의 시각관련 삶의 질은 시력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므로 시력관리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도 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present basic data for visual condition of the homeless by assessing the visual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vision of the homeless.
Methods: In this study, 147 people(129 male, 18 female) in Seoul and Daejeon were surveyed from June 2015 to July by using Korean version NEI-VFG-25 to find out visual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vision of the homeless. 18 people out of 147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but did not disclose their age were excluded from analysis.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converted to the lowest score 0 and the highest score 100, Higher score was rated as better vision.
Results: The scores of overall health condition and vision health of the homeless surveyed were 29.08 and 56.31, respectively. The scores of distance vision, near vision, eye pain, color vision and peripheral vision were 59.96, 52.39, 60.99, 71.40 and 62.24, respectively. The score of social function, mental health, the limitation of role, and dependence in terms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vision was 67.89, 56.72, 43.60 and 70.77, respectively.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vi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isual acuity(p<0.05)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p>0.05).
Conclusions: The visual acuity of the homeless was found to be the poorest in case of a near distance, and there were many opinions insisting that their current vision limits achievement of work. Sinc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vision of the homeless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isual acuity,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hat social concern and support on the vision care of the homel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통계 방법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2. 노숙인의 시각기능과 시각과 관련된 삶의질 평가 결과
  3. 원거리 시력과 시각 관련 삶의 질의 상관성분석
  4. 근거리 시력과 시각 관련 삶의 질의 상관성분석
  5. 주변부 시력과 시각 관련 삶의 질의 상관성분석
  6. 나이와 시각 관련 삶의 질의 상관성 분석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Jung-Hee Kim(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희
  • Jeong-Im Lee(안경하우스) | 이정임
  • Hang-Seok Lee(메종옵티크) | 이항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