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난시도 측정을 위한 크로스실린더렌즈의 활용
목 적: 난시안의 정확한 교정을 위해 자각적굴절검사에서 크로스실린더렌즈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근시성 난시를 가지고 있는 경기도 일부지역 대학생 159 안을 대상으로, Phoropter(Topon ACP-8, Japan)와 방사선시표를 이용하여 난시를 교정한 후 잭슨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난시 정밀검 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시표를 이용한 난시축과 난시량 검사결과와 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난시 정 밀검사 후의 난시축과 난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난시량은 방사선시표를 이용했을 때는 1.27±5.58D, 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정밀검사 후 는 1.64±7.86 D 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난시교정 축방향은 방사선시표 이 용했을 때는 122.77±63.85°, 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정밀검사한 후는 112.37±67.20° 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 난시량과 난시축이 부정확하게 처방된 난시교정안경의 착용은 잔여난시를 생성하게 하여 안정피 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크로스실린더렌즈를 활용한 난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for accurate measurement of astigmatism with Jackson's cross-cylinder lens method in subjective refraction.
Methods: The subjects was a college students(159 eyes) with myopic-astigmatism, who lived in a partial area of gyeonggi-do, and its corrected astigmatism by using the astigmatic fan chart(AFC), then conducted Jackson's cross-cylinder(JCC) lens method again. Comparis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amount of astigmatism and axis between AFC and JCC.
Results: The amount of astigmatism by using AFC and JCC was 1.27±5.58 D, 1.64±7.86 D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ce(p>0.05). However, the degrees of axis by using AFC and JCC was 122.77±63.85° and 112.37±67.20°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Conclusions: Wearing glasses with inaccurate correction of astigmatism and axis induced residual astigmatism and asthenopia. In clinical practise, for more accurate correction of astigmatism and axis, it suggest that the Jackson's cross-cylinder lens method necessary perfo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