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linical Approach on Visual-sensory Abnormalities in Amblyopia KCI 등재

약시의 시감각 이상의 임상적 접근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약시의 시감각 이상 위한 임상에서 가능한 검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안 24명(15.6±6.1(세))과 약시 치료 중이거나 중단한 약시안 21명(11.4±4.4(세))을 대 상으로, 시감각 검사법들 중 원-근거리 시력, 단안-양안 조절력, MEM을 이용한 조절래그, 입체시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약시 그룹을 부등시성(굴절성)과 혼합성(사시성) 약시로 나누어 시감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정상안과 약시안의 시감각 비교에서 원거리 시력(정상안: 1.0±0.0, 약시안: 0.53±0.3), 근거리 시력(0.99±0.03, 0.43±0.25), 조절래그(0.78±0.25, 0.63±0.51(D))와 입체시(32.71±6.90, 457.62±320.47(sec of ar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여 시감각 검사방법 중 네 가지 방 법으로 약시안의 시감각 이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단안-양안 조절력과 굴절성과 사시성 약시 그 룹간의 시감각 이상 비교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원-근거리 시력, 조절래그 그리고 입체시 검사들이 약시의 시감각 이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는 결과를 보였으며, 약시의 종류로서의 시감각 검사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시의 치료 및 분석에 있어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보다 다각적인 약시의 임상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verify clinical methods to screen visual-sensory abnormalities in amblyopia.
Methods: Twenty-two individuals with normal vision(15.6±6.1(years)) and twenty-one those who are undergoing amblyopia treatment or have experienced on it(11.4±4.4(years)) were involved in the present study. Methods such as visual acuity at far and near, monocularly and binouclarly accommodation, accommodative lag using MEM(Monocular estimate method) and stereoacuity were performed, and the data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lso, the amblyopic group was divided as two groups such as anisometropic(refractive) and mixed(strabismic) amblyopia, and then the differences in visual-sensory abnormalities were compared.
Results: In comparison of those with normal and amblyopic vision,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at far(normal vision: 1.0±0.0, amblyopic vision: 0.53±0.3) and near(0.99±0.03, 0.43±0.25), accommodative lag(0.78±0.25, 0.63±0.51(D)), and stereopisis(32.71±6.90, 457.62±320.47(sec of arc))(p<0.05), suggesting that four methods of visual function tests were available to screen visual-sensory abnormalities in amblyopia. However, comparisons of accommodation between monocularly and binocularly, and of the visual-sensory abnormalities between refractive and strabismic amblyopic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 accommodative lag, and stereopsis tests are available to clinically screen the visual-sensory abnormalities in amblyopia, whereas the methods to identify the sorts of amblyopia were not suitable. Therefore, in treatment and analysis of amblyopia multifaceted clinical approach to amblyopia will be more feasible through the methods suggested from the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분석방법
 Ⅲ. 결 과
  1. 정상안과 약시안의 원-근거리 시력
  2. 정상안과 약시안의 단안 및 양안 조절력
  3. 정상안과 약시안의 조절반응
  4. 정상안과 약시안의 입체시
  5. 부등시성약시와 혼합성(사시성) 약시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Ki-Seok Lee(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기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