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KCI 등재

Stand Structure of Actual Vegetation in Natural Forest and Plantation Area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4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특성을 규명하여 생태적 산림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1개소의 식생조사자료를 토대로 상관우점종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천연림에서 신갈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피나무군락으로 분류되 었고, 인공조림지에서 잣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천연림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 44.3, 소나무 12.1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 27.6, 쇠물푸레 12.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고, 인공조림지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잣나무 22.6, 일본잎갈나무 15.4, 물푸레나무 13.3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 굴참나무 17.9, 담쟁이덩굴 14.1, 신갈나무 10.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덩굴성 식물의 중요치가 천연림에 비하여 인공조림지에서 높았다. 종다양성 지수는 계곡부에서는 천연림 2.334, 인공조림지 1.734, 사면부에서는 천연림 1.931, 인공조림지 1.927으로 각각 나타났다. 장군봉 일대 산림식생의 관리를 위해서는 지형과 상관군락단위별 차별화된 관리방법이 필요하고, 특히 인공조림지 내 덩굴식물의 높은 중요치를 줄일 수 있는 관리방안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Vegetation data was collected in Janggunbong, Bonghwa-Gun, from July in 2014 to October in 2015. We carried out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hysiognomy dominant species of 111 quadrates. In natural forest area,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Betula schmidt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Tilia amurensis community. In plantation area, the vegetation community was classified Pinus koraiensis community, Larix kaempferi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value in slope area, that of tree layer of natural forest showed Quercus mongolica as 44.3, Pinus densiflora as 12.1. That of subtree layer of natural forest showed Quercus mongolica as 27.6, Fraxinus sieboldiana as 12.4. That of tree layer of plantation area showed Pinus koraiensis as 22.6, Larix kaempferi as 15.4, Fraxinus rhynchophylla as 13.3. That of subtree layer of plantation area showed Quercus variabilis as 17.9,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s 14.1, Quercus mongolica as 10.4 in the order, respectively. Vine plants showed higher importance value of plantation area than that of natural forest area. Species diversity in valley area was 2.334 in natural forest area, and 1.734 in plantation area. That of natural forest area was 1.931, and that of plantation area was 1.927 in slope area, respectively. For management of the forest vegetation in Mt. Janggunbong, a distinct forest management for topography and physiognomical community unit should be needed, and especially reducing strategy of higher importance value for vine plants in plantation area should be considered.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2. 조사방법
  3. 분석방법
 결 과
  1. 임종에 따른 입지환경 비교
  2. 식생유형분류와 종조성
  3. 층위별 중요치
  4. 종다양도
 고 찰
  1. 임종에 따른 입지환경 비교
  2. 식생유형분류와 종조성
  3. 층위별 중요치
  4. 종다양도
 REFERENCES
저자
  • 변성엽(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Seong-Yeob Byeon
  • 윤충원(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ung-Weon Y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