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역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역량 평가를 위한 지수분석 KCI 등재

An Index Analysis for Evaluating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of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672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6.16.3.1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전 세계가 경험하고 있는 주요한 환경문제이다. 대한민국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광역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적응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계획의 이행과정을 실질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표준화된 체계가 아직까지 갖추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16개 광역지자체(세종특별자치시 제외)별 기후변화 적응지표를 구축하고 그에 따른 평가지수를 분석하는데 있다. 기후변화 적응역량을 측정할 8대 부문(건강, 농업, 산림, 물관리, 생태계, 해양수산업, 재난/재해, 적응기반대책)의 113개 변수를 지표로 선정하였고, 범주척도 기법을 활용하여 광역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역량을 평가하는 지수를 도출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역량이 높은 지자체는 지속적인 계획의 이행이 요구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지자체는 상위 지자체의 수준에 도달하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와 지수는 향후 광역지자체 수준에서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세부시행계획을 평가하고 지속가능하게 모니터링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problem that all around the world has experienced. Korea has set up the adaptation plan at the level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However, a standardized system that monitors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by local governments has not been equipped well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quantitative variables and evaluate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by the sixteen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the city of Sejong through an index analysis. The 8 of sectors (namely, health, agriculture, forest, water management, ecosystem, marine product industry, disaster, and adaptation infrastructure) and the 113 of variables that can measure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were selected, and the results of the index analysis were elicited through categorical scales. Some governments with a high level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hould maintain their continuous plans and the others with a low level of it should take an effort to catch up with the good example of local governments. The measures and indices elicited in this study will become a milestone that monitors and evaluates the adaptation measures to climate change at the level of Korean local governments in the near future.

저자
  • 김오석(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 Oh Seok Kim
  • 한기주(㈜생태서비스 컨설팅 이사) | Kijoo Han
  • 김걸(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Kirl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