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접근불능지역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구축 방안 KCI 등재

Method of Construction of Land Cover Map(Level-II) in Inaccessible Terr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677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6.16.3.0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환경과 개발이 조화된 한반도 국토 종합개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환경계획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공간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 구축되어 있는 북한지역의 환경공간정보는 매우 한정적이다. 기존 환경부의 대분류 토지피복지도가 있으나,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는 국토의 토지피복분류를 7개 항목으로만 분류체계가 구분되어 있고, 공간 해상도 또한 떨어져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근불능지역을 대상으로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하여 신규 구축이 가능한 토지피복지도가 북한 지역의 환경공간정보로 타당하 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기존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보다 공간 및 속성 해상도가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 도시, 산림, 농업 분야의 토지피복지도 관련 구축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각각의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는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의 구축 가능성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기존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의 22개 분류체계에서 신규 16개 분류체계로 변경하여 각각의 분류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성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분류체계별 구축방안을 시범 구축하였다. 이러한 북한지역의 토지피복지도의 시범구축 결과 분류체계의 항목별 전체 분류정확도는 95.35%로 산정되어, 북한지역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구축에 적용가능하다 판단하였다.

To establish a nat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ning of Korean Peninsula that harmonizes both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necessary to be used for environmental planning. However, the spatial information of North Korea is absent. Althoug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ossesses the land cover map with level 1 classification, this map only has seven classes and low spatial resolutions, resulting in a limited availability for decision makings. Therefore, this study finds out that a newly created land cover map through apply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for inaccessible terrain is suitable for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n North Korea. Also, the research aims to create land cover map with level 2 classification which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fields since it has higher resolutions and categorization criteria of attributes is more accurate than existing land cover map with level 1 classification.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examines existing land cover map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urban, forest, and agriculture. Based on classification structures in these fields, possibility and availability of establishing land cover map with level 1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With these considerations, we change the existing 22 classification structures which are used in land cover map with level 2 classification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to 16 classification structures and establishment methods for each classification structure are suggested. Also, Kaesong area is chosen for project area and establishment methodologies for each classification structure are developed. The results of demonstration establishment of land cover map in North Korea show that the entire classification accuracy is 95.35% which is appropriate to establish land cover map with level 2 classification in North Korea.

저자
  • 김근한(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Guenhan Kim
  • 김오석(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Oh Seok Kim
  • 정휘철(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Huicheul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