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cute and Chronic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Pupil Size, Accommodation and Tear film KCI 등재

담배 흡연이 동공크기, 조절력, 눈물막에 미치는 급성 및 만성효과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7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담배 흡연이 동공크기, 시력, 조절력 및 눈물막에 미치는 급성 및 만성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성인 남성 중 비흡연자 30명, 흡연자 25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연의 급성효과를 관찰 하기 위하여 흡연자에게는 0.5 mg의 니코틴이 함유된 동일한 담배 1 개비를 피우도록 하고 흡연 직후 명소 시와 박명시 상태에서 동공크기, 대비시력, 대비감도, 고위수차, 조절력 및 눈물막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동 공크기는 동공측정계(VIP™-200 Pupillometer)로, 안구수차는 파면수차계(KR-1W)를 사용하여 4 ㎜ 동공 크기에서 측정하였으며, 100%와 10% 대비시력, 대비감도를 측정하고, 조절력은 Push-up test 검사로, 눈 물막 안정성은 눈물막파괴시간(TBUT)을 측정하여 흡연 전과 비교하였다. 만성효과는 비흡연자와 흡연자의 흡연 전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흡연의 급성효과로 동공크기는 조도와 휘도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명 소시와 박명시에서 측정한 저대비 시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대비감도와 고위수차는 차이가 없 었고(p>0.05), 흡연 후 조절력과 TBUT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동공크기는 모든 조도와 휘도에서 차이가 없었고, 대비시력, 대비감도, 고위수차, 조절력 및 TBUT도 유의한 차이가 관 찰되지 않았다. 결 론: 흡연의 급성효과로 동공이 축동되고, 조절력 및 눈물막 안정성이 감소하며, 저대비 시력이 향상되 었다. 그러나 흡연은 만성적으로 동공크기, 시력, 조절력 및 눈물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흡연은 일시적으로 시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pupil size, accommodation and tear film. Methods: Thirty non-smokers and twenty-five cigarette smokers were recruited. For acute effect of smoking all smoking subjects were asked to smoke an identical single cigarette containing 0.5 mg nicotine. Photopic and mesopic pupil sizes, contrast visual acuities, contrast sensitivities, higher-order aberrations (HOAs), accommodations and tear-film stability were measured before smoking and immediately after smoking. The pupil sizes and HOA were measured with Pupilometer (VIP, NeurOptics) and Wavefront Analyzer (KR-1W) as 4 mm area of pupil size respectively. 100% and 10% contrast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ies were measured and amplitude of accommodations were assessed by push-up method and the tear film stability was assessed by TBUT (tear break-up time). For the chronic effect of smoking, all measurements of the cigarette smokers without smoking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n-smokers. Results: For acute effect of smoking, pupil siz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moking regardless of illuminance and luminance level (p<0.05). The low contrast visual acuities in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were improved (p<0.05). The contrast sensitivity and the higher-orderaber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amplitudes of accommodation and tear film stabili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moking (p<0.05). Conclusions: Acute effect of smoking resulted in decreased pupil size, accommodation, and tear film stability, and improved in low contrast visual acuity. However, chronic effect of smoking has no influence on pupil size, visual acuity, accommodation, tear film stability that it is thought that smoking has temporary effect on visual function.

저자
  • Koon-ja Lee(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이군자
  • Yeon-Hee Kim(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김연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