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암세포의 침윤성 성장에 미치는 섬유모세포의 역할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568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초록

암 발생 이 후, 암세포외 섬유모세포는 cytokine. 성장인자 둥 분자를 통하여 상호 작용을 일으킨다 최근 cbemokines의 신호전달이 종양세 포와 기질 미세환경의 상호작용에서 암세포의 성장, 침윤, 이 동애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보고 되였다 본 연구에서 마이크로 어레 이 를 통하여 구강펀평 세 포암종 암세포외 구강편평 세 포암종 암조직에서 유래된 섬유모세포의 공동배양에서 섬유모세포 존재할 경우 구강 편평세포암종 세 포주애서 chemokine receptor를 포함한 다수의 유전자들이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암세포가 존재할 경우 섬유아세 포에서 는 c h e mokines을 비 롯한 디수의 cytokine 유선자들의 발현이 증가 되였음을 알게 되었다. 암세포와 섬유모세포사이의 상호 작용 에서 영힘을 주는 chemokin않의 종류 및 역할을 진일보 분석 하였다 구강편평세포암종 (OSCC) 세포주 YD-lOB, YD• 38, HSC-2, HSC-3, Ca9-22 빛 구강편평 세 포암종에서 유래힌 섬유모새포 (cancer derived fibroblast; CF) 를 사용하였다, 마이크로 어레이와 re al- time PCR를 통하여 암세포외 CF의 공동배양에서 발현에 변화가 존재하는 chemokines과 cbemokine receptor를 분석하였고, Trans well assay와 wound hea ling assay을 시행하여 CCL7의 암세포 침윤에 미치는 역할을 검토하였고‘ F-actin 형광염색으로 암세 포 세포 골격의 액틴세사의 활성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ELTSA를 이용하여 CCL7 분비량 측정 및 발현대상을 확인하였으며 면역조직화희염색으로 구강편평세포암종 조직 에서 CCL7의 발현 을 조사하였다 암세포와 섬유모세포의 공동배양에서 CF 존재 시 암세포 에서 ch emokine recep tor를 포함한 다수의 유전자‘ CCR5. CEECAM1 동의 발헌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암세포와의 공동배양에 의해 CF 에서는 암세포가 존재 시 CCL7‘ CXCL1, CXCL3 등의 c h emokines의 발현이 증가 되었다 특히 HSC-2, YD-IOB‘ Ca9-22 OSCC 암세 포와 CF의 공동배양에서 CF의 CCL7의 발현이 증기히였다 Trans well assay와 wound healing assay 실험에서 CCL7를 처리한 OSCC 세포의 이 동은 농도 의존적으로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a nti -CCL7에 의하여 억제 되었다 F-actin 형광염색에서 CCL7 침가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세 포 골격 의 액틴세사의 활성을 나티내어 세포돌기가 증가도어 이동성 증가를 형태학적으로 확인하였다 CF와 구강암세포(YD- 10B, HSC-2. HSC-3‘ Ca922‘ YD- 38) 와의 공동 배양에서 CCL7 의 발현은 모두 증가 되었고 CCL7의 발현은 CF 에서 분비 되였음을 확인하였다 정상 치 은 조직 9건 OSCC 암환자의 조직 16건에 대하여 조직면역화학염색을 진행한 결과 암환자의 조 직애서 7 례 (43%) 에서 CCL7 말현 을 관칠하였다 구강편평 세 포암종 암세포의 침윤은 암세포 자극에 의해 섬유모세포가 활성화 되어 CCL7의 분비를 촉진하고 섬유모세포에 의하여 분 비된 CCL7은 암세포에 영향을 주어 암세포로 하여 금 세 포골격 의 변화를 일으키며 이는 세포이동을 촉진하여 암세포의 침윤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저자
  • 차충민(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구강종양연구소)
  • 정다운(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구강종양연구소)
  • 김진(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구강종양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