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지뽕 열매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과 물러짐으로 저장기간이 짧고 유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농산물에 적용할 수 있는 선도 유지 및 가공법은 여러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으로 농민들이 적용할 수 있는 블랜칭 처리방법과 열풍 건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블랜칭 처리 시간별로 꾸지뽕의 생균수를 측정하여 블랜칭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블랜칭 처리 시간 및 건조 조건에 따른 건조 추세를 비교한 결과, 40℃에서 건조 시 무처리구 보다 블랜칭 처리구가 더 빠른 수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건조 온도가 증가할수록 무처리구와 블랜칭 처리구 간의 건조 추세 차이는 점점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블랜칭 및 열풍건조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조건에 따른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색차(ΔE)의 예측값은 각각 8.62 mg GAE/g, 56.65 mg RE/g, 40.26%, 11.69의 수치를 나타냈다. 최적 범위 내 임의의 조건 즉, 240 sec 블랜칭 처리 시간, 60℃ 건조 온도, 24 h 건조 시간에서 실험값은 10.06 mg GAE/g, 49 mg RE/g. 44.99%, 10.53을 나타냈으며 예측값과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optimal conditions of hot air drying for Cudrania tricuspidata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blanching time (60, 120, 240 sec), drying temperature (40, 60, 80℃) and drying time (12, 24, 36 h). The dependant variables were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color difference (ΔE). Viable cell colony was counted according to changes of blanching time. It was confirmed that microorganism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blanching time. From RSM results, the predicted values of TPC, TFC, DPPH, and ΔE were 8.62 mg GAE/g, 56.65 mg RE/g, 40.26% and 11.69, respectively. Experimental values within the optimal range (240 sec, blanching time; 60℃, drying temperature; 24 h, drying time) were 10.06 mg GAE/g, 49 mg RE/g, 44.99% and 10.53, respectively. The predicted values were similar to the experimental values. Comparing drying tendency according to changes of blanching time, moisture reduction was bigger in the blanched sample than that in control at 40℃.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blanched and control decreased with increase of drying temperature. Viable cell gradually decreased as increasing blanching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