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공신경망과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해상교통량 예측 KCI 등재

A Prediction of Marine Traffic Volum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ime Series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3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회귀분석과는 달리 시계열 분석과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장래 해상교통량을 예측하였다. 특히, 시계열 분석을 통한 예측값을 인공신경망 모형에 추가 입력변수로 적용하여 장래 해상교통량 예측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항의 1996년부터 2013년까지 월별 관측값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형의 예측력 검증을 위해 1996년부터 2012년까지 관측값을 대상으로 구축한 모형으로부터 2013년을 예측하여 실제 관측값과의 비교로 적합한 모형을 판별하였다. 인천항의 2015년 장래 해상교통량은 매월 평균 교통량보다 5월과 11월에 각 5.9 %, 4.5 % 많았으며, 1월과 8월은 매월 평균 교통량보다 각 8.6 %, 4.7 % 적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인천항은 계절에 따른 월별 교통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상교통 현장관측 조사시 계절에 따른 교통량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Unlike the existing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ticipated future marine traffic volume using time series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Especially, it tried to anticipate future marine traffic volume by applying predictive value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s an additional input variable. This study used monthly observed values of Incheon port from 1996 to 2013. In order for the verification of the forecasting of the model, value for 2013 is anticipated from the built model with observed values from 1996 to 2012 and a proper model is decided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observed values. Marine traffic volume of Incheon port showed more traffic than average for May and November by 5.9 % and 4.5 % respectably, and January and August showed less traffic than average by 8.6 % and 4.7 % in 2015. Thus, it is found that Incheon port has difference in monthly traffic volume according to the seas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ording to the season when investigating marine traffic field observation.

저자
  • 유상록(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Sang-Lok Yoo
  • 김종수(한국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Jong-Su Kim
  • 정중식(목포해양대학교 국제해사수송과학부) | Jung-Sik Jeong
  • 정재용(목포해양대학교 국제해사수송과학부) | Jae-Yong Je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