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안 조간대 3개 지역에서 해조류의 군집과 생물지표종 KCI 등재

Community Structure and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of Marine Benthic Algal at Intertidal zone in the Three Areas of the East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4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해 북부지역 거진, 중부지역 죽변 및 남부지역 감포의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해조상의 지리적 종조성과 우점종 및 서식 특성을 2014년 5월과 8월에 조사하였다. 해조상의 지리적 종조성을 보면 거진, 죽변 및 감포는 모두 온대성 해조상의 특성으로서 거진은 구멍갈파래(Ulva pertusa), 염주말(Chaetomorpha moniligera)이 우점하였고, 죽변은 염주말(C. moniligera),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감포는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 pertusa), 솜털류(Ectocarpus sp.)가 우점하였다. 지역별 해조상을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C/P, R/P와 (R+C)/P의 비율에서 거진은 각각 0.85, 2.10, 2.94, 죽변은 각각 0.58, 3.15, 3.73 그리고 감포는 각각 0.80, 3.91, 4.71로 전체 지역이 온대성 특성의 해조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이들 지역은 거진의 A 그룹과 죽변과 감포 지역의 B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이것은 지리적 종조성에서 죽변과 감포는 거진보다 온대성 해조상 특성이 강하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We have been studied for geographic distribution, dominance and inhabitation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l species at intertidal zones of Geojin in the northern part of east coast of Korea, Jukbyeon in the middle part and Gampo in the southern part in May and August 2014. For the geographic distribution, the three areas (Geojin, Jukbyeon and Gampo) were a characteristic of the temperate region. Geojin dominated with Ulva pertusa and Chaetomorpha moniligera, Jukbyeon dominated with C. moniligera and Chondria crassicaulis, Gampo dominated with Sargassum thunbergii, U. pertusa and Ectocarpus species. C/P, R/P and (R+C)/P, which can represent the marine algal flora, were 0.85, 2.10, 2.94 in Geojin, 0.58, 3.15, 3.73 in Jukbyeon and 0.80, 3.91, 4.71 in Gampo.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ose regions were divided in two groups, which were a group A of Geojin and group B of Jukbyeon and Gampo. This result was well matched with Jukbyeon and Gampo shared their temperate region character i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study.

저자
  • 정희동(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Hee-Dong Jeong
  • 김상우(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Sang-Woo Kim
  • 홍성익(바다생태리서치) Corresponding Author
  • 한명석(바다생태리서치) | Myung-Seog Han
  • 장성호(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Seong-Ho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