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잠제설치에 따른 만성리해빈에서 해안선의 장기변화 예측 KCI 등재

Predicting Long-Term Shoreline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Submerged Breakwaters in Manseongri Be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6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만성리 해안은 중조차 해빈으로 조립한 해저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해에 대해 남동쪽으로 열려있어 조석 조류보다 파랑에 의한 해빈변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파랑은 춘계와 하계에 강하여 유의파고가 2~3m에 달하는 폭풍파가 자주 출현하였으나 추계와 동계는 고파랑이 출현하지 않는 정온한 해상상태를 보였다. 관측된 해안선변화의 계절적 특징은 입사파와 깊은 관계를 나타내었다. 춘계와 하계의 고파랑시에 해안선이 침식하였고 추계과 동계의 정온시에 침식을 회복하였다. 이런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실측해안선자료를 사용하여 해안선변화의 검증수치실험을 수행하였는데, 검증매개변수 C₁ = 0.2와 C₂ = 1C₁일 때 사후예측된 해안선은 실측해안선과의 RMS 오차가 1.26 m 정도로 만족스러웠다. 이 값을 사용하여 잠제와 도류제 등이 완공된 10년 후 만성리 해빈의 해안선을 예측한 결과, 잠제배후역에서 5~15 m 정도 해안선이 전진하며, 잠제배후역 북측에서 5~15 m 정도 해안선이 후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Manseongri Coast meets the sea on the southeast and is composed of coarse sediment as a mesotidal beach. The waves that strike the beach are stronger than the tides or tidal currents as external forces of beach deformation. Storm waves frequently reach significant wave heights of 2-3m and hit in spring and summer, leaving the sea calm during fall and winter. Incident waves reach remarkable heights that correspond with observed shoreline changes. The shoreline erodes in spring and summer due to these strong waves but recovers in fall and winter as a result of the more moderate waves. On the basis of these observed results, a numerical calibration for experiments on shoreline change was established. Results revealed that according to hindcast data, calculated shoreline changes agreed with the observed shoreline, with a minimum RMS error of 1.26m with calibration parameters C₁ = 0.2 and C₂ = 1 C₁. Using these calibration parameters, long-term shoreline change was predicted after the construction of submerged breakwaters and jetties, etc. The numerical model showed that the shoreline would move forward by 5-15m behind the submerged breakwaters and recede by 5-15m north of the structure.

저자
  • 박일흠(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Il Heum Park Corresponding Author
  • 강성욱(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Seong Wuk Kang
  • 강태순(㈜지오시스템리서치) | Tae-Soon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