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명보정(錦溟寶鼎, 1861~1930)은 구한말의 승려이자 지식인으로서, 1, 000여수의 시를 남기고 있다. 그는 송광사를 중심으로 전라도 지방에 서 주로 활동하였는데, 적극적인 사회활동보다 절에서 글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는 일에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그의 시 속에는 시대상황을 반영 한 것들도 많이 존재하는데,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이 삼일독립운 동 뒤에 감옥에 갇힌 것을 안타까워하는 시나 동경대지진(東京大地震) 을 묘사한 시 등이 그것이다.
그는 대단한 문필가이자 승려들을 가르친 강사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글을 짓고 경전을 읽는 것을 주로 하였다. 하지만 그의 시 속에는 승려로 서 수행에 몰두하지 않고 시와 글을 짓는 것에 대한 자괴감 등도 엿보인 다. 그의 삶의 모델은 유마거사(維摩居士)인데, 그의 시 속에는 유마거사 에 대한 시도 종종 보인다. 한편 그는 당시의 한국승려들과 마찬가지로 간경(看經), 참선(參禪), 염불(念佛)을 동시에 닦고 있었는데, 이를 삼문 수업(三門授業)이라고 한다. 그는 참선에 있어서는 무자화두(無字話頭) 를 참구하고 있었으며, 무자화두에 대해 읊은 시도 존재한다.
나아가 그는 평소 염불을 닦아서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왕생하고자 하였는데, 특히 말년에 이르러서는 열심히 염불수행을 하였다. 또 장편 염불가요(念佛歌謠)인 『정토찬백영(淨土讚百詠)』을 남기고 있는데, 이 는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의 『백암정토찬(栢庵淨土讚)』을 본 뜬 것이다. 『정토찬백영』은 한국의 정토가요(淨土歌謠)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높은 작품이다.
Geummyeongbojeong (錦溟寶鼎, 1861~1930) was a Buddhist priest and an intellectual during the last years of Joseon dynasty, and some 1,000 of his poems remain to date. He mostly stayed and worked in Jeolla province, especially at Songgwangsa Temple. Rather than actively engaging in social movements, he concentrated on writing and teaching students at the temple. Still many of his poems reflect social events and circumstances of the day, for instance, a poem where he lamented imprisonment of Han Yongun (韓龍雲, 1879~1944) follow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or a poem that described the Tokyo earthquake.
As an outstanding writer and a teacher to Buddhist priests, he spent most of his time writing and reading Buddhist scriptures. However, in his poem, we can feel his agony over writing poem and essays, for neglecting practice as a priest. His role model was Yumageosa (維摩居士) who is frequently mentioned in his poem. Like other Korean priests at the time, he simultaneously worked on gangyeong (看經), chamseon (參禪), and yeombul (念佛), which were referred to as sammunsueop (三門授業). In Zen meditation, he sought mujahwadu (無字話頭), which is also mentioned in some of his poems. He aspired to reach the Buddhist pure land by chanting prayers, and this effort intensified as he aged.
He wrote a lengthy song of Buddhist prayers titled 'Jeongtochanbaekyoung (淨土讚百詠)', naming it after 'Baekamjeongtochan (栢庵淨土讚)' by Baekamseongchong(栢 庵性聰, 1631~1700). Among songs on the Buddhist pure land written in Korea, 'Jeongtochanbaekyoung' is lauded as a great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