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KCI 등재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0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들의 경관생태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녹지패치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활권 내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정원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 및 중점녹화지구로 분류된 역삼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지 일대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의 현황을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녹지 네트워크 분석 및 잠재적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FRAGSTATS를 통한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분석을 통한 연결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녹지의 유형별 특징으로는 가로녹지의 경우 핵심지역면적 (TCA)이 1,618m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선형 연결 녹지임에도 공원(1,128m2)에 상응하는 크기를 보였고, 개인정원의 경우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ED=78.1m/㏊), 최근린 평균거리가 33.9m로 낮아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 조성을 통해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LPI=5.7%, SHEI=0.9) 녹지유형이나 외부교란에 노출되어 있어(TCA=66m2), 이를 고려한 정원으로의 활용 방안을 시사하였다. 대상지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도 50m의 버퍼 범위를 연결녹지로 상정한 경우 전체 대상지 의 84%가 소규모 녹지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투리공지의 연결만으로도(27%) 가로녹지(26%) 조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구축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에, 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투리 공공녹지 에 지역기반의 커뮤니티 가든 등 도시정원 조성을 장려하고, 가로녹지, 개인정원, 옥상정원도 동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고밀 시가화지역 내에 녹지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with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and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green patches, thereby introducing urban garden for generating green networks in residence areas. To this end, Yeoksam-Dong was selected as the site area since it is classified as both green initiative zone and alienated area of park service in Seoul. First, the current condition of green spaces in Yeoksam-Dong was identified by five categories: Street trees,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rooftop garden, and park. Then, the landscape index analysis through FRAGSTATS and connectivity assessment via multi-buffer zone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green networks and evaluating the potential value of green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to which green areas in the site were distribute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street tree,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park, and rooftop garden. In case of the street trees whose total core area (TCA, 1,618m2) is as high as the park’s (1,128m2). Private garden has potential for green network 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by gardening since the shape of the patches are irregular (ED = 78.1m/㏊) and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patches is close (ENN=33.9m). Public pocket garden has also potential for gardening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it was found to be distributed evenly (LPI=5.7%, SHEI=0.9) with exposing external disturbance (TCA = 66m2). For the green network, 84% of all the study site is covered by small green network in 50m butter range of connected green area. The effect of green network was expected through gardening in public pocket garden (27%) and street tree (26%). Accordingly, it is encouraged to actively utilize street tree, private gardens, and rooftop gardens and to establish the urban gardens like local-based community gardens in public pocket garden where a variety of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near residential areas. By doing so, green networks can effectively be established in built up area with high d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fostering the creation of various types of urban gardens.

저자
  • 최희준(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Heejoon Choi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Bldg.#82,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 이정아(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Junga Lee (Ecological Engineering Institute NEXUS Group, B903, 40, Imi-ro, Uiwang-si, Gyeonggi-do, 16006, Korea)
  • 손희정(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Heejung Soh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Bldg.#82,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 조동길(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Donggil Cho (Ecological Engineering Institute NEXUS Group, B903, 40, Imi-ro, Uiwang-si, Gyeonggi-do, 16006, Korea)
  • 송영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Youngkeun So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Bldg.#82,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