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세뿔투구꽃의 자생지 식생과 환경특성 KCI 등재

Environment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habit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0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희귀 및 특산식물과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세뿔투구꽃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세뿔투구꽃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260-728m범위와 경사 4-39° 의 계곡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 및 관속식물 조사결과 7개 지역의 2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47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각 조사구내 초본층 피도와 빈도를 기초로 한 세뿔투구꽃의 중요치를 산출한 결과 평균 24.3%로 나타났다. 종다양도는 1.23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22와 0.77로 확인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토성은 미사질양토(4site)와 사질양토(2site), 양토(1site)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은 7.83%, 전질 소함량은 0.35%, pH는 5.69으로 측정되었다. 환경요인과 개체군특성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세뿔투구꽃의 자생지에 서 엽록소와 경사도간의 강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고, 개화율과 토양습도는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자생지의 안정적 인 유지를 위해서는 서식지 보전이 중요하며 서식지 주변에 보호구역을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altitude ranged from 260m to 728m with inclinations of 4-39°. As a result of vegetation survey within natural populations, a total of 147 taxa were identified inside 20 quadrates in 7 natural habitats. The importance value of Aconitum austrokoreense was 23.0% based on the coverage and frequency of the herbaceous layer and sat is more dominant. Species diversity was 1.23, and dominace and evenness were found to be 0.22 and 0.77, respectively. The soil type were silty loam (four sites), sandy loam (two sites) and loam (one site). The average field organic matter was 7.83% and the total nitrogen and pH were 0.35, and 5.69.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 showed the correlations between chlorophyll content and slope, flowering rate and soil humidity. Conservation on habitats conditions is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ignated a protection area for habitats conservation.

저자
  • 박정근(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Jeong-Geun Park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 피정훈(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Jung-hun Pi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 정지영(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Ji-young Jung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 박정석(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Jeong-seok Park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 양형호(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Hyung-ho Yang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 이철호(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Cheul-ho Lee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 서강욱(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Gang-uk Suh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 손성원(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Sung-won So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11186,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