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담낭용종에서 악성을 시사하는 예측 인자 KCI 등재 SCOPUS

Predictive Factors of Malignant Potential in Gallbladder Polyp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5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초기에 진단된 담낭암은 담낭 용종이나 담낭 결석 같은 다 른 양성 질환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이 후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료기술과 향상 에 따라 담낭 용종의 발생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담낭 용종에서 악성을 시사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 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437명의 환자 중, 담낭 용종으로 진단 된 첫 번째 군의 환자들은 359명이었고, 53명의 담낭선종, 25 명의 담낭암으로 진단된 환자들은 두번째 군에 분류하였다. 두번째 군의 환자들이 첫 번째 군의 환자들에 비해서 유의하 게 고령(50세 이상), 10 mm 이상의 크기, 담낭벽의 두께 증 가를 보였다. 담석 여부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0세 이상, 크기 증가, 담낭벽의 두께 증가 등은 담낭 용종에서 담낭암 또는 전구 병변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 다. 이런 인자들을 가지고 있는 담낭 용종 환자에서 담낭절 제술을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Although the incidence of GB polyps is increasing with improved surveillance, the study of predictive factors of malignant potential has not been sufficient.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malignant potential in GB polyps. Methods: Among 3,159 patients with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anuary 2009 to December 2013, 437 patients confirmed GB polyps pathologically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benign GB polyp and another with GB adenoma and incidental GB cancer. Results: Group I with benign GB polyp was seen in 359 patients. On the other hand, 53 patients with GB adenoma and 25 patients with GB cancer in gourp II were identified. The patients in group II had shown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age older than 50 years (53/78, 67.9% vs. 163/359, 45.4%, p =0.001), size larger than 10mm (40/78, 51.3% vs. 37/359, 10.3%, p <0.001), and GB wall thickening (36/78, 46.2% vs. 77/359, 21.5%, p <0.001). The presence of GB stone had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26/78, 33.3% vs. 96/359, 26.7%, p =0.378). Conclusions: Cholecystectom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atients with GB polyp with these predictive factors.

저자
  • 주연미(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Yeonmi Ju
  • 이윤채(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Yoon-chae Lee
  • 강미희(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Mi Hee Kang
  • 서승영(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Seung Young Seo
  • 김성훈(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Seong Hun Kim
  • 조백환(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Baik Hwan Cho
  • 유희철(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Hee-chul Yu
  • 양재도(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Jae Do Yang
  • 이승옥(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 Seung Ok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