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RCP 연관 십이지장 천공; 예방 및 치료 KCI 등재 SCOPUS

ERCP–Related Duodenal Perforati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7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ERCP와 연관된 합병증의 대부분은 사망률 1% 미만으로 임상증상이 경미하고 짧은 입원기간을 요하는 반면 ERCP 후 발생한 천공은 사망율이 10%까지 보고되는 ERCP 후 합병증 중 가장 두려운 합병증이다. 천공 발생 직후 즉각적으 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조기에 시술 환자의 임상 및 천공 상황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성공적인 치료 성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시술자 는 Billroth II 수술이나 Roux-en-Y 문합수술 등으로 변형된 해부학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나 시술이 어려웠던 경우 천 공발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환자의 증상 및 영상소견을 면밀히 관찰하여 조기진단을 위해서 노력하여야 한다. 천공의 치료로 현재까지는 내시경 자체에 의한 1형 장천공의 경우 즉각적인 수술이, 2형 및 3형 장 천공의 경우 내과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나 최근 신기술의 개발로 점차 1형 천공에 대해서도 내시경적 기구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 한 보고가 늘고 있으나 아직 수술적 치료를 대체하기는 어렵다.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an invasive procedure carrying potential complication such as pancreatitis, hemorrhage, perforation and cholangitis. Most of those complications are mild and usually need a short additional hospitalization periods. Perforation, however, often requires surgical intervention and in this case, the rate of mortality is up to 10%. Prompt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are key determinants for successful outcome. For this, endoscopist should be aware of possibility of perforation before procedure especially in high risk patients with altered anatomy such as prior Billroth II or Roux-en-Y anastomosis. After diagnosis of perforation,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volving medical, surgical and radiologic interventional subspecialties, is essential. Usually, surgical treatment is needed for type I free wall perforation and medical and endoscopic treatments are recommended for type II-IV perforation. Recently, several anecdotal studies reported successful endoscopic treatment using new devices for type I duodenal wall perforation but it is not warranted that endoscopic treatments can substitute the surgical intervention.

저자
  • 김홍자(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Hong Ja Kim Corresponding author
  • 박선미(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Seon Mee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