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술로 치료한 담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 KCI 등재 SCOPUS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of the Bile Duct Treated with Argon Plasma Coagulation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7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담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은 담관내에서 흔히 발견되며, 최근에는 전암성 병변으로 인식되어 왔다. 담관내 상피세포의 유듀상 성장과 점액생성 및 그로 인한 간내담관의 확장을 특징으로 한다. 수술적 절제가 악성 변화를 막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담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수술이외의 치료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우리는 75세 여자 환자가 우연히 담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으로 진단 받고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소작술로 성공적 치료를 받은 경우를 보고한다. 환자의 나이와 동반질환 등을 고려하여 수술 적 절제보다는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소작술을 시행하였고, 치료 4주 후 시행한 경피 경간 담도내시경에서 잔여종양의 증거는 없었다.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of the bile duct (IPMN-B) is frequently found and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precancerous lesion leading to invasive carcinoma characterized by papillary growth of the ductal epithelium with rich mucin production and cystic dilatation of the hepatic duct. Surgical resection is the treatment of choice to avoid malignant transformation. Despite a growing number of studies on IPMN-B, there are few reports of its treatment aside from surgery. A 75-year-old woman was incidentally diagnosed as IPMN-B. Considering the patient’s age, comorbidity, and preference, we recommended an argon plasma coagulation (APC) as local ablation therapy rather than surgical resection. There was no evidence of remnant tumor on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4 weeks after the ablation of tumor mass by using APC. We report a rare case of IPMN-B successfully treated with APC.

저자
  • 박상규(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내과학교실) | Sang Gyu Park
  • 백동훈(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내과학교실) | Dong Hoon Baek
  • 김광하(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내과학교실) | Gwang Ha Kim
  • 허 정(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내과학교실) | Jeong Heo
  • 송근암(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내과학교실) | Geun Am Song
  • 안상정(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병리학교실) | Sang Jeong Ahn
  • 김동욱(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내과학교실) | Dong Uk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