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후사료 급여 수준이 제주산마의 체중 변화, 장내 미생물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Concentrate Feed Level on Weight Change, Intestinal Microbiota, and Blood Profiles of Jeju Cross-Bred Hor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5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동물자원연구 (Annals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Institute of Animal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농후사료의 급여수준을 달리하여 제주산마 에게 급여하는 경우에 체중 변화, 장내 미생물 조성 및 혈액성상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공시축으로 24-36개월의 제주산마(제주마×더러브 렛) 14두를 공시하였으며, 농후사료의 급여수준을 체중의 1.5%(5두), 2%(4두)와 2.5%(5두)로 급여하여 봄과 겨울 증 체율 및 혈액 특성과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봄에 총 증체량은 1.5%, 2%, 2.5% 급여한 처리구에서 12.6kg, 21.5kg, 29.0kg, 겨울에 총 증체량은 21.6kg, 28.0kg, 42.6kg을 나타냈고, 일당 증체량은 봄에는 0.23kg, 0.39kg, 0.54kg, 겨울에는 0.40kg, 0.52kg, 0.79kg을 나타내어 체중의 2.5%를 섭취한 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내독 소는 농후사료 과다 섭취에 의해 그람음성균의 세포벽에 서 방출되는 물질로 봄에 시행한 시험에서 3주차 때 농 후사료를 체중의 2%와 2.5%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유의 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0.05) 이후에는 점차 모든 처리구에서 수치가 비슷해져 적응하는 경향을 보여 모든 처리구가 농후사료 급여에 적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봄에 실시한 실험에서 8주차에 분 pH는 농후사료를 체 중의 1.5%, 2%, 2.5% 급여한 처리구에서 각각 6.2, 5.8, 5.7로 나타나 농후사료를 체중의 2%와 2.5%를 급여한 처 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직장온도는 겨울에 실시한 실험에서 8주차에 농후사료를 1.5%, 2%, 2.5%. 급여구에서 각각 37.8℃, 37.9℃, 38.4℃ 를 나타내어 농후사료 2.5% 급여구에서 직장온도가 유의 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분내 미생물에 서는 셀룰로오스와 탄수화물(구조 탄수화물) 분해에 관여 하는 미생물로 알려진 Fibrobacter가 체중의 1.5% 급여했 을 경우 총 미생물군에서 2.49%를 차지하였고, 2%와 2.5% 급여구에서는 각각 1.42%와 1.09%를 차지하여 농후 사료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농후사료 2.5%의 급여가 비육마 사육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entrate feed level on the weight change, intestinal microbiota, and blood profiles of Jeju cross-bred horses. Jeju cross-bred horses, which are from twenty-four months to thirty-six old, were allocated three groups and were investigated by feeding the concentrate feed at 1.5% (n=5), 2% (n=4), and 2.5% (n=5) of their body weight in spring and winter. In spring, the final body weights were 288.60, 324.50, 337.00 in 1.5%, 2%, and 2.5% and its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treatment group (p<0.05), which were fed concentrate feed at 2.5% of body weight. In spring, endotoxin, which is known to be released in gram-negative bacteria cell wall in case of eating much concentrate feed, were 2.13, 1.50, and 0.57 in 1.5%, 2%, and 2.5%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and its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treatment group which were fed concentrate feed at 2% and 2.5% of body weight (p<0.05) in the third week. But since t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aecal pH were 6.2, 5.8, 5.7 in 1.5%, 2%, and 2.5% and its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treatment group in spring, which were fed concentrate feed at 2% and 2.5% of body weight. In the eighth week of winter, rectal temperature were 37.8, 37.9, and 38.4 in 1.5%, 2%, and 2.5%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and its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treatment group which were fed concentrate feed at 2.5% of body weight (p<0.05). The number of faecal microbiota, such as Fibrobacter involved in the decomposition of cellulose and carbohydrates, were 2.49%, 1.42%, 1.09% in 1.5%, 2%, and 2.5%. It shows significant decrease as the amount of concentrate feed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eding concentrate at 2.5% of body weight might be utilized as a method of fatting in Jeju cross-bred horses.

저자
  • 우제훈(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Jae Hoon Woo
  • 채현석(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1) | Hyun Seok Chae
  • 김남영(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1) | Nam Young Kim
  • 손준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Jun Kyu Son
  • 박설화(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eol Hwa Park
  • 신상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ang Min Shin
  • 유영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Yeong Ju Yu
  • 백광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Kwang Soo Baek
  • 조인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In Chul Cho
  • 박남건(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Nam Geon Park
  • 이왕식(제주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Wang Shik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