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계중독에 대한 자기치유 고찰 - 관무량수경 16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을 중심으로 - KCI 등재

Consideration of self-healing of relationship addiction - Focusing on the meditation on the jeweled tree of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in Amitāyur-dhyāna-Sūtr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5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논문은 정서ㆍ심리적 혼란과 불균형 상태인 중독의 자기치유적 관점에 서 상담심리 주변 연구와 소통하며 불교의 치유적 기제(機制)를 문헌적으 로 고찰하고자 했다.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16관법이 의존ㆍ회피ㆍ충동의 총체인 중독의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벗어나는 초월적ㆍ직관적 통일체험으로 써 자기인식과 자기성장에 도움을 주는 유의미한 치유과정임을 고찰했다. 본 논문에서는 과정중독인 관계중독의 치유적 고찰을 위해 관무량수경 16 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수상관(樹想觀), 나무를 관상함)’에 등장하는 보배 나무의 상징성을 분석했다. 
관무량수경은 아직까지 폭넓게 연구되지 않은 모습이다. 관무량수경 은 아미타경 무량수경과 더불어 정토삼부경에 속하지만 다른 경전에 비 해 사상적 담론보다는 관경변상도 등 불화에 대한 불교미술사적 연구와 정 토사상을 구현한 사찰건축물 조성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언급되었고, 16관법 에 관한 심리치유적 담론 연구는 김용정이 1977년 한국불교학에서 「관무 량수경의 16관법」을 주제로 근원적 종교체험으로서 관법을 다루었다. 본 논 문은 관무량수경 16관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종합해, 관상(觀想)에 의한 인식주체와 대상의 통일체험이 중독 치유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분석했다. 16관법의 관상법이 현대를 살아가는 소외된 대중이 빠지기 쉬운 심리ㆍ정서적 불균형 상태를 회복할 수 있는 대안적 치유기제인 것이다.

This essay considers healing mechanism of Buddhism philologically connecting with the study of counselling psychology in terms of self-healing of addiction resulting i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confusion and imbalance. It is investigated that the sixteen meditationsI analyze the symbolism of the jeweled tree appearing in the meditation on the jeweled tree(寶樹(vipaśyanā) of Amitābha in Amitāyur-dhyāna-Sūtra(觀無量壽 經) are the meaningful healing process which helps one's self-awareness and self-growth by making it possible to experience transcendental and intuitional unity. In order to consider healing process of relationship addiction, 觀) of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Amitāyur-dhyāna-Sūtra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yet. It belongs to three principal texts of the Pure Land tradition(淨土三部經) along with Larger Sukhāvatīvyūha(無量壽經) and Amitābha-Sūtra(阿彌陀 經). But it has been researched in the study of Buddhist art history about Buddhist painting like Gwangyeong-Byeonsangdo(觀經變相圖) and that of the buildings of Buddhist temple materializing the idea of the Pure Land more than in the ideological discussion as compared to the others. Kim Yong jeong dealt with meditation as a fundamental religious experience in his essay,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in Amitāyur-dhyāna-Sūtr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in 1977, which is the study of the sixteen meditations in respect of the discourse on psychological healing.
Taking preceding research into consideration, I analyze here what the united experience of cognitive subject and object means in the healing process of addiction. The approach of contemplation(觀想法) of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can be the alternative healing mechanism to recover from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imbalance which isolated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able to get themselves into.

목차
I. 서론
Ⅱ. 관무량수경 16관법의 치유과정 고찰
Ⅲ. 관무량수경 16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에 나타난 자기치유
Ⅳ. 결론
저자
  • 황선미(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석ㆍ박통합과정) | Hwang, Sun-mi